정책동향
OECD의 한국 혁신 시스템 분석 및 정책권고
- 등록일2009-08-25
- 조회수873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9-08-25
-
출처
과학기술정책정보시스템
- 원문링크
-
키워드
#OECD#한국 혁신 시스템
- 첨부파일
OECD의 한국 혁신 시스템 분석 및 정책권고
1. 개 요
○ OECD는 최근 국가별 혁신정책에 대한 심층분석의 일환으로서, 한국판 보고서를 발간
[ OECD 국가별 혁신정책 심층분석의 개요 ]
◇ 해당 국가의 정부기관 요청에 의하여 작성되며, 혁신시스템에 대한 특징 및 강점, 약점 분석, 혁신지원을 위한 정부 지원정책 등 혁신정책 전반에 관한 평가보고서
◇ 본 보고서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요청에 의하여, OECD의 Country Review Unit의Jean Guinet(HEAD) 주관하에 Michael Keenan(OECD자문관, 시드니 대학교수)의 주도로 작성
◇ 국내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KISTEP, STEPI의 연구자가 참여
○ 한국 혁신 시스템의 주요 특징은, 국적 대기업이 선도하는 민간 혁신 시스템, 중소기업(SMEs)의 혁신시스템 내 역할 증가 등
※ 이외, 정부연구기관 및 대학 등도 한국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과학기술 및 혁신분야의 인적자원 역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
※ 이외, 정부연구기관 및 대학 등도 한국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과학기술 및 혁신분야의 인적자원 역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
○ 한국 혁신 시스템의 강점은 높은 GDP성장률, 정부의 강력한 혁신 및 R&D지원 등이며,
약점으로는 낮은 기초연구 역량, 서비스 분야의 낮은 생산성 등으로 평가
※ FTA, 글로벌 R&D등이 기회요인으로 평가되었으며, 수출집약 산업구조, 낮은 출산율 등은
위협요인으로 평가
약점으로는 낮은 기초연구 역량, 서비스 분야의 낮은 생산성 등으로 평가
※ FTA, 글로벌 R&D등이 기회요인으로 평가되었으며, 수출집약 산업구조, 낮은 출산율 등은
위협요인으로 평가
○ OECD는 한국 혁신 시스템의 발전을 위하여, 혁신 정책 부처간 협력체계개선 및 연구 수행자의
역할 재정의, 기초과학 연구에 대한 중요성 인식 제고 등을 제시
역할 재정의, 기초과학 연구에 대한 중요성 인식 제고 등을 제시
2. 한국 혁신 시스템의 주요 특징
○ (대기업의 민간 혁신 주도) IT, 전자, 자동차 등 특정 산업분야 대기업 중심의 민간 혁신 투자주도
- 특히 최근 첨단 산업기술 분야에서의 추격형(Catch-up)전략에서 선도형(Leadership)전략으로
전환이 활발
- 특히 최근 첨단 산업기술 분야에서의 추격형(Catch-up)전략에서 선도형(Leadership)전략으로
전환이 활발
○ (중소기업 및 기술기반 벤처기업의 역할 증가) 최근 과거의 대기업 종속 구조에서 벗어나,
R&D지출 확대 등 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역할범위 확장
R&D지출 확대 등 혁신역량 제고를 통한 역할범위 확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
- 정책동향 OECD Health Statistics 2024(요약본) 소책자 2024-10-15
- 정책동향 OECD Health Statistics 2023(요약본) 소책자 2024-10-14
- 기술동향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24년 7월호] OECD, '첨단재료:나노캐리어 사례 연구' 워크숍 보고서 발간 2024-08-19
- 정책동향 [R&D 이슈브리프] OECD-FAO 농업 전망(Agricultural Outlook) 2024-2033 발표 2024-08-14
- 정책동향 OECD MSTI 2024-March 주요 결과 2024-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