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우리나라 기술융합의 문제점과 정책적 시사점
- 등록일2009-08-26
- 조회수921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9-08-26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술융합#한국 기술융합#한국 경제 회복기
- 첨부파일
우리나라 기술융합의 문제점과 정책적 시사점
ㅇ 경제 회복기에 대비하여 기술융합이 개인의 역량, 사회구조, 국가 시스템 등을 변혁시키는 새로운 기술패러다임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
- 기술융합을 단순히 기술혁신의 수단으로 파악하는 기능적 접근에서 벗어나 기술융합에 대한 본원적인 접근을 통한 사회·국가적 비전 제시가 필요
ㅇ 기술융합 기반 조성을 위한 국가 발전의 비전 제시를 통하여 중·장기적인 융합 혁신시스템으로의 전환을 모색할 필요
- 융합기술 분야별 발전 로드맵을 작성하고 지원시스템을 구축하되, 연관 산업의 규제시스템 재정립을 위한 법제화 추진이 필요
ㅇ 기술융합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관련 기초연구 분야에 대한 연구역량 강화가 급선무
- 기술융합의 핵심이 되는 기초연구 역량의 강화를 위해 관련 연구개발사업 비중 확대, R&D 전문기업 육성책 수립, 우수 연구센터 지원 규모의 확대 및 기초연구 분야에 대한 창의적이고 개방적인 연구지원을 강화
ㅇ 이와 함께 기술융합의 인프라 조성을 위해 산·학·연 간 연구협력 및 융합조직 확대가 긴요
- 공공연구기관 간 대형 협력프로젝트 추진, 자발적 조직 융합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등 연구개발 주체들 간의 기술융합조직 구성의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
- 기업이 공공연구기관과 공동연구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기술융합 시너지를 제고할 수 있도록 공공연구기관 내 개방형 연구실을 운용하고 창업보육 기능을 통합하는 등 기업참여 융합시스템의 업그레이드가 필요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