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국가 R&D 프로젝트 선정과정은
- 등록일2009-09-10
- 조회수1085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9-09-09
-
출처
매경이코노미 제1522호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 R&D #국책성#기술성#시장성
국가 R&D 프로젝트 선정과정은
국책성·기술성·시장성 평가
◆ R&D를 알면 10년 앞이 보인다 ◆
수십만 개의 R&D 중 정부예산을 받는 과제는 소수다. 지원받더라도 성공이 보장되는 건 아니다. 10개 중 1개만 성공해도 본전을 뽑는다는 게 바로 R&D 투자사업이다. 정부는 많은 R&D를 어떤 기준으로 선정해 지원하고 사업화하는 걸까.
사업화 과정은 크게 10가지로 나뉜다. 우선, 정부는 중장기 R&D 정책 방향을 세운다. 가령 이명박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R&D 정책의 큰 밑그림으로 삼았다. 이를 바탕으로 세부전략에 들어간다. 즉, 기술 분야별로 구체적인 중장기 R&D 추진방향을 결정한다. 이것이 두 번째 단계다. 현 정부는 R&D 정책에 따라 세부적으로 3대 분야에서 총 17개 신성장동력과 200개 과제를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이제 본격적인 과제 발굴단계다. 이를 위해선 기술수요조사가 필요하다. 향후 정부가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술이 무엇인지 산·학·연을 통해 듣는다. 두 번째 단계까지가 정부가 주도한 톱다운(Top down) 방식이라면 기술수요조사는 밑에서 파악하는 보텀업(Bottom up) 방식이다. 기술수요조사는 한 달가량 걸린다. 올해는 7월 말에 조사를 마쳤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동향
- 정책동향 도전·혁신형 국가 R&D 추진, 성과지표 및 평가체계 개선이 선결되어야 2024-12-24
- 정책동향 [과학기술정책 Brief] 국가 R&D 예산감액과 국제공동연구의 확대, 그러나 국제공동연구 인프라 정비는 아직. 실행 위한 관련 법제 및 이행체계 조속히 정비해야 2023-11-20
- 정책동향 [과학기술정책 Breif] 국가 R&D 100조원 시대, 과학기술 입법 혁신을 위한 과제 2022-11-30
- 정책동향 [2021-12] 국가 R&D 단계별 기술사업화 주요 이슈 탐색 2022-01-06
- 정책동향 국가 R&D 기술사업화 핵심 영향요인 분석 및 시사점 2021-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