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국가 R&D 프로젝트 선정과정은

  • 등록일2009-09-10
  • 조회수1085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국가 R&D 프로젝트 선정과정은 
 
국책성·기술성·시장성 평가
 
 

◆ R&D를 알면 10년 앞이 보인다 ◆
 
수십만 개의 R&D 중 정부예산을 받는 과제는 소수다. 지원받더라도 성공이 보장되는 건 아니다. 10개 중 1개만 성공해도 본전을 뽑는다는 게 바로 R&D 투자사업이다. 정부는 많은 R&D를 어떤 기준으로 선정해 지원하고 사업화하는 걸까.
 
사업화 과정은 크게 10가지로 나뉜다. 우선, 정부는 중장기 R&D 정책 방향을 세운다. 가령 이명박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R&D 정책의 큰 밑그림으로 삼았다. 이를 바탕으로 세부전략에 들어간다. 즉, 기술 분야별로 구체적인 중장기 R&D 추진방향을 결정한다. 이것이 두 번째 단계다. 현 정부는 R&D 정책에 따라 세부적으로 3대 분야에서 총 17개 신성장동력과 200개 과제를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이제 본격적인 과제 발굴단계다. 이를 위해선 기술수요조사가 필요하다. 향후 정부가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술이 무엇인지 산·학·연을 통해 듣는다. 두 번째 단계까지가 정부가 주도한 톱다운(Top down) 방식이라면 기술수요조사는 밑에서 파악하는 보텀업(Bottom up) 방식이다. 기술수요조사는 한 달가량 걸린다. 올해는 7월 말에 조사를 마쳤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