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말레이시아,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
- 등록일2009-12-31
- 조회수1350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9-12-22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재생에너지#말레이시아#에너지 산업
말레이시아,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
-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법령, 내년 발표 예정 -
□ 신재생에너지법과 실행안(new National Renewable Energy Act and Action Plan)이 내년에 의회를 통과할 것으로 예상됨.
○ 말레이시아 정부는 2050년까지 수력발전소를 제외한 신재생에너지로부터 전체 전력수요 중 5%의 전력수급을 목표로 함.
- 2001년부터 가스, 오일, 석탄, 수력발전 다음으로 신재생에너지는 5대 주력연료로 강조됨. 이는 말레이시아가 다량의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기 때문이기도 함.
○ 2006년 총 에너지 수급 통계
부문 |
총 에너지 수요(%) |
공업용 |
42.1 |
교통·운송 |
36.7 |
주거 및 상업용 |
13.7 |
비에너지 |
7.0 |
농업 |
0.06 |
자료원 : SIRIM
- 에너지 수요가 가장 높은 부문은 공업부문으로 42.1%를 차지하고, 교통·운송분야가 36.7%로 그 뒤를 이음.
교통·운송분야 에너지 소비율
구분 |
소비율(%) |
경유 |
37.6 |
휘발유 |
35.7 |
연료유 |
8.5 |
LPG(액화석유가스) |
6.5 |
자료원 : SIRIM
- 승용차의 약 99%가 휘발유, 버스·트럭의 약 74%가 경유를 사용함.
○ 말레이시아 정부, 녹색기술과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초점
- 2009년 7월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시행안의 하나로 정부 산하기관인 SIRIM(www.sirim.my)은 상업화가 가능한 9대 에너지 프로젝트를 발표함. 이 프로젝트에는 해초 태양열 건조기술(solar thermal dryer for sea weed), 자트로파 바이오디젤, 팜오일 바이오에탄올, 말레이시아 신재생에너지원 지도 구축, 풍력에너지 지도 구축 등이 있음.
- 위 프로젝트에 필요한 현지 기술 제공업체가 선정됐고, 정부가 자금지원을 함. 현재 이 프로젝트는 초기단계이며, 빠른 시일 내에 상업화될 예정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