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중소기업의 신기술개발 실태와 정책시사점
- 등록일2010-01-11
- 조회수648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09-12-30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중소기업
- 첨부파일
중소기업의 신기술개발 실태와 정책시사점
ㅇ 현장조사 결과, 안정적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정부가 적극 육성하고 있는 녹색기술 및 신성장동
력 등 국책 신기술 분야에 대한 중소 제조기업의 진출 수요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
- 특히, 경제위기 이후 혁신환경 악화에도 불구하고 R&D투자를 꾸준히 확대하고, 산학연 공동개
발을 활성화하는 등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개
ㅇ 그러나 빠르게 재편되는 글로벌 산업구조 속에서 국내 중소기업의 위상과 역할을 강화하기 위
해서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행태에서 개선되어야 할 과제 또한 적지 않은 것도 사실
- 예컨대, 신기술 분야임에도 이미 선진국에서 보급된 기술을 개발하는 등 개발과제의 혁신성이
미흡
- 또한, 대외 협력의 성공요인이라 할 수 있는 자체 기술흡수 역량, 파트너관리능력, 전략적 활용
의지 등이 부족
ㅇ 중소기업의 신기술 개발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개선 노력이 필요
- 기술정보뿐 아니라 판매시장·사업전략 등이 통합된 실천적 세부 정보 제공
- 개발기술의 혁신성 제고를 위해 정부 지원 시 선택과 집중을 통한 차별적 지원 강화 및 선정평
가관리체계의 엄격한 운용
- 개발성과의 사장화 방지를 위해 국책 사업에서 중소기업의 참여 여지를 확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R&D-intensive SMEs in Europe : What do we know about them?
-
다음글
- 일본, 생명과학분야 제4기 과학기술기본계획의 검토에 관한 의견
관련정보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