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일본, 이학·공학, 생명과학의 전망
- 등록일2010-04-15
- 조회수739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0-03-19
-
출처
글로벌 과학기술 정책정보 서비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일본 생명과학
- 첨부파일
일본, 이학·공학, 생명과학의 전망
1. 이학·공학
가. 배경
○ 향후, 지구나 자원 등의 유한성이라는 제약하에서 지속가능한 사회를 목표로 하기 위해서는, 역시 과학기술이 불가결하고, 21세기에도 새로운 과학기술의 창출에 의해 인류의 존속·발전이 가능해진다.
○ 따라서 새로운 과학기술의 창출 및 이를 지탱하는 인재 육성이 불가결하고, 초등학교부터 고등교육까지의 일관된 과학기술 교육, 대학에서의 연구와 교육의 발본적 개혁, 산학관 제휴에 의한 연구나 기술 교육을 추진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
나. 추진방향
○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 창출
-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을 창출해 나가려면, 이학 분야에서는 독창적인 발상에 근거한 기초연구를 추진하고, 공학 분야에서는 대학이 독창적인 시즈(Seeds, 축적된 연구 기술, 노하우) 개발을 실시하면서, 산학관 제휴에 의해서 환경 조화형 신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정부는 대학 등의 안정적인 연구 체제를 구축하는 시책과 계속적인 연구비 지원을 실시한다.
○ 사회를 위한 과학과 지(知)의 통합
- 향후의 과학기술에서 요구되는 "지의 통합"은 "사회를 위한 과학"을 목표로 모든 분야의 연구자가 제휴해 추진해 가야 할 과제이다.
- "지의 통합"의 연구 방법론중 하나인 "E-사이언스"는 많은 분야에서 유용하고, 그 연구나 체제 정비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 대형 장치 계획·대규모 연구의 추진 및 기반적 연구와의 조화
- 대형 장치 계획의 평가 체제를 확립하고, 장기 플랜 추진 체제와 국책적 대형 연구의 방향에 대한 검토의 장을 마련한다.
- 아울러, 국제적인 시점도 중시하면서, 정부의 장기적인 과학 정책 가운데에서 방책을 명확히 한다.
○ 이학·공학 분야의 발전을 지탱하는 젊은이·인재의 육성
- 유아기의 육성 환경이나 초중고교의 이과 교육의 개선이 급선무이며, 대학·대학원의 전문 교육의 개혁, 국제적인 인재 육성, 여성 연구자·기술자 육성에 의한 남녀 공동 참가의 추진도 긴급 과제이다.
- 제4기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도 교육기관으로의 공적 지출을 늘려 지원을 강화한다.
○ 과학기술 리터러시(Literacy)의 함양과 새로운 교양 교육의 구축
- 고도의 과학기술 리터러시를 가지는 교원 육성, 초중고교의 이과 교육 재검토, 대학생·대학원생에 폭넓은 과학기술 리터러시를 갖게 하기 위한 21세기형 교양과목 교육, 과학기술의 성과를 사회에 발신하기 위한 매스컴과의 제휴, 연구자측의 정보 발신 의식 향상 등을 촉진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