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OECD 주요국의 농산업 생산성과 R&D 투자비교

  • 등록일2010-08-27
  • 조회수1005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0-08-15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농산업
  • 첨부파일

OECD 주요국의 농산업 생산성과 R&D 투자비교

 

 

주요내용 


한국과 같이 국토 면적이 협소하고 부존자원이 빈약한 국가는 “수출-제조업” 중심의 성장 전략을 채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농산업의 국민경제적 위상이나 성장에 대한 기여도가 크게 하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선진국 중 네덜란드, 덴마크와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국토면적이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농산업이 국제적으로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주요 국가 간 농산업의 성과와 경쟁력에 격차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무역수지와 노동생산성으로 대리 측정해 보고 국가 간 어느정도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3대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 농산업 R&D 예산을 확대하고, R&D 범위와 외연을 확대하며, 농산업이 중심이 되는 대형국책사업을 추진해야 함

 

 □ 농산업 R&D 투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공공부분 R&D의 시장지향성을 보강하고 R&BD 시스템을 강화해야 함

 

 □  농산업 R&D 네트워크를 확충하고 관?산?학?연의 공동 연구 방식이 농산업에 보편화되도록 정책 프로그램의 창안이 필요함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