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과학기술계 사회적 자본의 측정과 정책적 시사점

  • 등록일2010-12-23
  • 조회수10665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0-12-15
  • 출처
    STEPI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사회적 자본#정책
  • 첨부파일

과학기술계 사회적 자본의 측정과 정책적 시사점

 

STEPI / 송치웅, 이정원

 

 

<개 요>


□ 과학기술계 사회적 자본 개념과 측정방법


 - 과학기술계 내부의 신뢰, 구범 및 네트워크 등 사회적 자본은 개인과 조직의 협력을 촉진하여 연구생산성과 기술혁신의 효과를 제고함


 - 과학기술계 사회적 자본은 신뢰, 규범, 네트워크 및 사회구조의 네 가지 분애로 구분하여, 과학기술계에 종사하는 500명에 대해 설문조사로 측정

 

□ 과학기술계 사회적 자본의 측정 결과

 - 과학기술계의 신뢰도는 일반국민의 신뢰도보다 높은 수준이면, 연구 성과에 대한 신뢰도도 높은 수준으로 조사됨


  . 국공립 및 민간연구소에 대한 신뢰도는 높으나 상대적으로 국회 및 언론에 대한 신뢰도는 낮음

 - 연구 성과 소유권에 대한 제도적 보호, 정부연구개발사업 관련 제반 규정, 정부연구개발사업의 연구비 집행 및 연구자 연구윤리 등 과할기술계 규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


 - 네트워크 활동에 있어서 대학 연구자들이 가장 활발하며 민간연구소 연구자들은 상대적으로 약함

 - 사회적 구조 관련 조사에서는 R&D 투자규모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예산배분과 정책 수행능력에 대해서는 부정적 의견이 다소 많았고 집단 간 갈등 구조도 표줄됨

 

□ 정책적 시사점


 - 과학기술계 연구자들 사이에는 기본적인 신뢰관계가 구축되어 있으나,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참여확대 및 활성화를 전제로 전문 커뮤니티의 응집력을 높여야 함


 - 과학기술계와 정부 및 언론 매체들과의 소통 및 협력이 강화되어야 하면, 집단 간 갈등 및 대립을 해소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


 . 국가주도기술의 선정과정에서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하며, 공정한 연구개발예산의 배분과 평가제도의 운영이 중요한 과제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