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R&D 통계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 등록일2011-03-14
- 조회수796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1-02-21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R&D 통계
- 첨부파일
R&D 통계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 현재 R&D 관련하여 국내 통계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나 데이터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음
- 매년 발표되고 있는 세가지 지표들이 작게는 1,000억원에서 많게는 2조원까지 큰 편차를 보이고 있어 국가 R&D 예산의 정확한 추계와 시계열적 추이를 확인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통계 이용자들의 혼란이 야기됨
□ 통계자료 차이의 원인
- 과학기술통계로 공식적으로 발표 활용되고 있는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 국가 R&D예산, 국가연구개발사업비, 지방R&D예산으로 발표되는 연구개발비 통계자료의 차이는 각각 R&D활동에 대한 개념과 정의, 조사대상과 범위, 통계 작성의 조사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그 결과도 다르게 나타남
□ OECD 기준에 부합하는 국내 R&D 통계 작성 필요
-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의 결과로 발표되는 정부부담 연구개발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조사?분석의 결과로 발표되는 국가연구개발사업 투자액 모두 OECD의 Frascati Manual에 부합하는 연구개발 통계 지표라고 하기 어려운 바, 이에 대한 보정이 필요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AAAS REVIEW OF THE NSF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S INTEGRATIVE PARTNERSHIPS (STC) PROGRAM, 2000-2009
-
다음글
- National Science Foundation FY 2012 Budget Request to Congress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