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호주 CRC 운영 현황과 국내 시사점
- 등록일2011-08-29
- 조회수698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1-08-01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호주
- 첨부파일
호주 CRC 운영 현황과 국내 시사점
1990년도부터 시작된 국내 우수연구센터(SRC/ERC) 사업은 대학 연구역량을 획기적으로 성장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대학 내 연구 구심점 형성에 미흡하고 최근 확대되는 개인기초연구와의 차별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호주의 ′Engine of Innovation′으로 불릴 정도로 대학연구와 산업화 연계에 있어 성공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는 CRC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집단연구지원사업 개선의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CRC는 1990년대 공공연구기관과 대학의 자발적 공동연구가 산업적 성과를 거둠에 따라 본격적으로 대학의 산학협력을 유도하기 위해 도입되었고 농림수산, 광업, 제조업 등 4개 분야 42개 센터가 운영 중이며 20년간 약 33억 호주달러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또한 14명으로 구성된 CRC위원회가 선정, 평가 등 사업 수행 전반에 걸친 의사결정을 일관되게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CRC가 국내에 미치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학 연구환경이 크게 변화한 상태에서 산학협력을 목표로 하는 ERC는 SRC, MRC, NCRC, 중점연구소 등 기초분야 타 집단지원사업과는 차별화된 운영 및 관리 방식이 필요한데 논문, 특허 등 양적성과보다는 기업과의 협력 내용과 장기적 발전 전략에 관한 질적 평가가 중요하며 소장의 전폭적인 권한 강화가 요구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11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 통계연보
-
다음글
- Monitoring industrial research : The 2010 EU Survey on R&D Investment Business Trends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