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농림수산식품 분야 해외 R&D 동향
- 등록일2011-09-16
- 조회수783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1-09-02
-
출처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농림수산식품
- 첨부파일
농림수산식품 분야 해외 R&D 동향
◈ 농림수산식품 분야 해외 R&D 정책 동향
- 연구기관들의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민영화, 책임운영 기관화 등을 통해 연구조직 변화를 추진하고 있음. 주요국들은 크게 환경 분야, 농촌지역개발 분야에 대한 기능을 확대하고 타 분야와의 융복합을 통해서 농림수산식품 R&D를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남
◈ 환경 및 식품안전, 농촌지역 개발 등에 대한 확대 추세
- 미국: 국민에 대한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고 국민의 적정한 영양을 공급하는 방향으로 미농무성(USDA산하의 농업연구청(ARS)를 중심으로 농림수산식품 분야 R&D 방향 정립
- 영국: 농림부가 환경 및 식품안전 분야와 통합되면서 농업·식품안전·환경·농촌 개발 문제를 일원화된 시스템(OST(Office of Science & Technology)) 내에서 가축위생연구소,
가축생리 및 유전공학연구소, 작물연구소 등 종합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진
- 프랑스: 효율적인 농업생산(에너지 생산 도구로서의 농업이용), 경쟁력 있는 식품산업, 질 좋은 식품, 농촌지역의 삶의 질 유지 및 환경 보호와 관련된 분야에 대해 중점 연구
- 네덜란드: 식품과 식품안전성, 환경과 복지 이슈, 녹색공간의 이용, 농업이 사회에서 가지는 역할과 중요성에 중점 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 정부주도형으로 속 가능하고, 독립 가능하며, 국제적으로 경쟁력이 있는 농업 부분을 개발하여 사회의 중심적 역할을 다하는 동시에 향후 유럽의 농업추진 방향을 제시
- 뉴질랜드: 전통적인 농업국가로서 낙농업 및 원예산업이 유명하며, 식품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유기농산물 수요 증가. 국영기업형식의 크라운연구소(Crown Research Institutes, CRIs)중심으로 농업, 축산, 자연환경 등 다양한 분야를 첨단과학기술을 이용해 연구개발 추진
- 일본: 열악한 농업경쟁력 극복을 위해 유전자원, 환경 등 농업생산기반기술에 투자를
확대하는 등 생명공학연구를 더욱 강화하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