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EU 2020 Flagship initiative innovation Union
- 등록일2012-04-02
- 조회수488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2-04-02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initiative innovation
- 첨부파일
EU 2020 Flagship initiative innovation Union
목 차
Ⅰ. 서론
Ⅱ. 유럽의 지식기반 강화 및 분산화 방지
Ⅲ. 우수한 아이 디어의 상업화
Ⅳ. 사회적-지역적 정합성 극대화
Ⅴ. 유럽혁신 파트너십
Ⅵ. 유럽정책의 전파
Ⅶ. 정책의 실현
주요 내용 요약
□ 동 보고서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발표한 '유럽 2020 주력 이니셔티브 (EU 2020 Flagship Initiative: Innovation Urdon/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자 함
o '유럽 2020 주력 이니셔티브'는 지속적인 활동이 시급한 주요 분야에서 유럽이 직면한 문제와 기회를 제시하고 있으며, 혁신연합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유럽차원, 국가별 및 지역별 주요 이니셔티브들을 제시하고 있음
□ 유럽의 지식기반 강화 몇 분산화 방지
o EU가 양질의 노동자롤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혁신에 대한 투자와 인재롤 유치 등을 통해서 우수한 노동자가 분야와 국가롤 자유롭게 이동하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매력적인 연구환경을 구축해야 함
o 유럽 내 연구활동의 볼필요한 중복을 최소화하고 투자 대비 성과롤 높이기 위해서는 단일화된 유럽연구지대 창설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모든 잠여자들이 공공이나 민간의 구분 없이 자유롭게 연구 활동을 하고 연대를 구성하여 세계 적 차원에서 경쟁하고 협력가능 함
o EU 연구 및 혁신 자금지원 제도는 혁신연함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정비되어야하며, 연구와 혁신의 성과를 빠로게 하기 위해 행정 간소화를 추진해야 함
o 유럽혁신기술연구소(HT)는 새로운 거버넌스 모델 및 자금지원 모델을 장려함으로써、유럽차원에서는 처음으로 지식 삼각형(於rowledge Triangle)의 세 가지 구성쇼소인 교육f 연구、혁신을 통합시키는 동력을 제공
□ 우수한 아이디어의 상업화
o 유럽은 우수한 아이디어의 상용화에 대해 적극적인 투자롤 해야 하며、투자매력도롤 제고하기 위해서는 벤처 캐피털에 대한 국가간의 모든 장벽을 제고하고 혁신기업의 자본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상장 절차를 단순화해야 함
O 강력한 소비자 기반을 갖춘 거대 단일 시장은 혁신기업과 투자의 유치뿐만 아니라 최고의 혁신을 위한 경쟁을 촉진하므로、이를 위해 특허、표준화 등의 제도를 정비하고 공공조달을 활성화하여 혁신에 대한 시장 수요를 견인
o 기업들은 R&D나 신기술 개발 이외에도 기존 기술의 활용、기존 산업 네트워크 내에서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및 서비스의 개발을 통해서도 혁신을 창출하므로 여러 유형의 혁신을 지원활 수 있는 정책을 추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