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대졸인력의 지역 간 이동특성과 정책적 시사점
- 등록일2012-07-13
- 조회수405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2-05-24
-
출처
산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대졸인력
- 첨부파일
대졸인력의 지역 간 이동특성과 정책적 시사점
ㅇ 수도권을 제외한 모든 광역경제권에서 대학졸업 인력의 수도권 유출·집중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수도권과 인접한 충청권과 강원권에서 심화
- 충청권의 경우 대학졸업생의 수도권 유출률은 2005년 15.9%에서 2009년에 51.0%로 상승하고, 강원권은 27.0%에서 56.4%로 상승
- 대졸인력의 수도권 유출은‘수도권 고교 졸업→수도권 인근 대학 진학→수도권 취업’현상에 의해서도 큰 영향
ㅇ 대졸인력의 수도권 집중현상은 수도권에서 먼 지역보다는 인접한 지역에서, 산업 기반이 잘 갖춰진 지역보다는 낙후된 지역에서 현저한 경향
- 반면, 광역경제권 간 임금수준 및 고용형태의 차이는 미미하여, 이러한 차이를 수도권 집중현상의 원인으로 보는 데에는 한계 존재
ㅇ 대졸인력의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비수도권 간,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의 대졸인력 순환을 촉진할 수 있는 지역산업 육성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필요
- 지역산업의 고도화를 통해 대졸 고급인력이 지역의 전문기업을 찾아 취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
- 지역기업과 대학 간 산학협력을 통한 일자리 연계와 지역산업 수요에 부응하는 대학의 인력양성 및 기술혁신 지원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