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사회·기술시스템론과 정책적 의의

  • 등록일2012-09-24
  • 조회수456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2-09-18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사회·기술시스템론
  • 첨부파일

사회·기술시스템론과 정책적 의의

 

 

탈추격 혁신과 사회문제 해결이 과학기술혁신정책의 중요한 의제로 부상하면서 추격과 경제성장을 핵심의제로 설정했던 기존의 관점과는 다른 새로운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으로 사회·기술시스템론(Socio-technical system)을 제안했다. 사회·기술시스템론은 기술사회학, 기술사, 혁신연구, 조직이론에 바탕하여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 시스템적 관점을 통합한 연구를 지칭한다.
사회·기술시스템론의 특성은 사회와 기술이 상대를 전제로 하는 통합된 시스템으로 존재한다고 파악, 강한 가치지향·정책지향성, 다층적 접근을 통한 거시·미시적 측면 동시 고려, 전략적 니치관리를 통한 시스템 전환 등이 있다.

 

 또한 현재 과학기술혁신정책이 안고 있는 문제점으로 사회와 기술 요소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폭넓은 인식 없이 요소기술을 제시하는 방식의 장기비전, 특정 기술에 자원을 집중 배분하여 관련 기술을 획득하는 전략을 취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시민사회의 참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 부족, 계몽주의에 바탕을 둔 과학대중화론의 한계 등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사회·기술시스템론의 활용방안 네 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방안 1] 시스템 전환론에 바탕한 장기비전의 형성
 [방안 2] 중단기 연구개발사업 기획 시 사회·기술시스템론의 활용: 사회-기술기획
 [방안 3] 사회·기술시스템론과 시민사회의 참여
 [방안 4] 사회·기술시스템론과 참여형 과학문화 활동의 활성화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