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국내외 중개연구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등록일2012-10-25
  • 조회수664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2-09-17
  • 출처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개연구
  • 첨부파일


국내외 중개연구 현황 및 활성화 방안

 

 

[목   차]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외 주요사례 분석

 제1절 선행연구 분석

 제2절 국내외 주요 사례 분석

제3장 우리나라의 중개연구 현황

 제2절 중개연구 투자현황

 제3절 중개연구 주요사업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


□ 정부 R&D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대하고 있으나, R&D 생산성은 답보 


○ 원천기술 부족으로 세계적인 R&D 성과 부족 

 ※ 우리나라 일등 상품 수 : 121개 (미국 610개) 

 ※ 기술무역수지 적자(백만 불) : (’95)1,835 → (’99)2,493 → (’04)2,731 → (’09)4,856 

 ※ 이전 건당 생산성(기술료 수입(만$)/이전건수) : 미국(55.62), 유럽(8.95), 한국(3.19) 

 ※ 특허당 기술료(백만 원/건) : 산업기술 출연(연) 4, 獨프라운호퍼 58, 臺ITRI 6 

 ※ 공공(연) 기관당 기술창업('10년) : 0.65건, (美) 4.24, (EU) 2.25, (캐나다) 1.41 

 ※ 기업과 대학간 지식이전 정도(IMD): (’07) 21위 → (’08) 41위 → (’09) 33위 

   * 출처: (제4차 기술이전·사업화촉진계획(안), 2011.12, 지경부) 


 ○ 기초·응용연구 성격 과제의 사업화 미진  

   - 기초연구는 기술이전이 전체의 83.5%를 차지하며, 기존업체의 상품화는 16.1%에 불과 

 

 ○ 중소기업이 수행주체인 과제에서 연구결과물의 사업화가 진행되며, 대학·연구소는 미진

   - 중소기업(55.7%), 국공립(연)(16.6%), 대학(12.5%), 출연(연) 1.6% 

 

 ○ 정부의 BT 육성책이 주로 기초기술 및 신물질 등의 연구개발에 치우쳐 임상시험·시판 허가 등 상업화 단계에서 병목현상(bottle-neck) 발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