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중개연구의 개념과 성공 조건

  • 등록일2013-05-07
  • 조회수715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3-04-01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개연구#임상# T1 중개연구
  • 첨부파일

중개연구의 개념과 성공 조건

 

 

기초 생명과학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임상 적용 가능한 신 치료법의 개발은 부진한 상황이 지속되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해 기초와 임상을 연계하는 중개연구 개념이 등장했고, 그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다.

중개연구라는 용어는 1990년대 처음 등장한 후 2000년대 들어 그 사용이 빈번해지면서 의료계와 산업계 전반에 확산되었으나, 중개연구라는 용어가 엄밀한 정의 없이 탄생한 뒤 연구자마다 약간씩 다른 의미로 사용함에 따라 미국에서도 그 개념적 혼란 문제가 자주 지적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해외의 흐름을 반영하여 2000년대부터 중개연구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보건복지부는 2005년부터 중개연구 지원 사업을 시작하였는데 특히 최근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대학, 출연(연), 기업의 뒤를 이어 병원이 중요한 연구 주체로 부상하면서 중개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지원주체나 연구자들 사이에 중개연구 개념과 그 구체적 내용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어서 연구 지원과 수행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미국에서 중개연구 개념이 탄생하고 진화해온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중개연구의 핵심적 목표와 지향점을 파악하고, 그 성공 조건과 정책 과제 5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과제 1] 의사들이 연구할 수 있는 환경 조성
 [과제 2] 기초연구자와 임상 의사의 협업 시스템 구축
 [과제 3] 병원과 외부 조직의 협력 시스템 구축
 [과제 4] 국가주도의 T2 중개연구 체계 구축
 [과제 5] 최적 치료법의 보급을 위한 진료기반 연구 네트워크 구축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