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OECD 기술혁신정책 연구동향: 기술혁신정책(TIP) 작업반의 정책연구 중심

  • 등록일2014-01-17
  • 조회수491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4-01-09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OECD
  • 첨부파일
OECD 기술혁신정책(TIP) 작업반은 지난 20년 동안 국가혁신체제의 국제적 확산과 정책적 도전과제의 발굴에 기여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개념을 발전시켰고 국별 사례연구 결과를 생산해냈다. 변화의 규모가 확대되고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기존 접근의 한계가 확인되면서 시스템 혁신 등 새로운 정책의제를 통해 과학기술혁신 정책의 리더십 확보를 꾀하였다. 우리나라도 2015년 OECD 과학기술장관회의 개최 등 OECD 과학기술정책 의제의 생산과 실행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OECD 기술혁신정책(TIP) 작업반의 출범과 지난 20년의 성과와 시스템 혁신, 전략적 과학기술혁신(STI) 민관협력, 스마트 전문화, 개방 과학 및 데이터 등 TIP의 주요 정책과제에 대해 살펴보고, OECD 과학기술혁신 정책의 전환과 우리나라의 지위 변화와 주요 TIP 과제별 시사점 및 참여방향, OECD 정책연구의 추진 및 지원체계의 정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1. 과학기술혁신 정책의 전환과 확대
 2. 정책학습자에서 공동 정책생산자로의 역할 전환



 1. TIP 정책연구 전문가 확대 및 연계 강화
 2. 2015년 OECD 과기장관 회의를 글로벌 정책연구 네트워크 확대의 계기로 삼음
 3. OECD 사업기획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국내 전문가의 사무국 진출 확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