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KEIT PD 이슈리포트 : 2013년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14년 추진 계획(22대 분야)
- 등록일2014-02-07
- 조회수578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4-02-04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주요성과
- 첨부파일
이 자료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서 발췌한 자료입니다.
바이오분야 '13년 연구개발 분야 및 주요성과
주요 연구분야
[의약바이오] 시설 및 기반구축 인프라 사업 추진
- 신약개발과정에서 도출되는 초기유효물질, 선도물질, 후보물질에 대한 물성분석, 약동력학, 기초독성, 약물의 화학설계 및 합성, 분자이미징을 이용한 약효 검증 등의 핵심기술을 도입ㆍ정착하고 개별 기반기술의 시스템화를 통한 통합 신약플랫폼 기술 구축
-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임상 수요를 국내 CRO를 통해 충족시키고, 이를 통해 국내 비임상 및 임상 CRO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
-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임상 수요를 국내 CRO를 통해 충족시키고, 이를 통해 국내 비임상 및 임상 CRO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
(의약바이오) 바이오의약품 개발 등 연구개발 사업 추진
- 유전자치료제, 줄기세포 치료제, 면역세포치료제와 같은 바이오의약품 및 저분자 의약품 등의 연구개발을 통해 국내 바이오벤처 및 중소 중견 제약사의 경쟁력 제고
- 유전자치료제, 줄기세포 치료제, 면역세포치료제와 같은 바이오의약품 및 저분자 의약품 등의 연구개발을 통해 국내 바이오벤처 및 중소 중견 제약사의 경쟁력 제고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Draft Horizon 2020 Work Programme 2014-2015 in the area of “European research infrastructures (including e-Infrastructures)”
-
다음글
- 미국 의료의 질 보고서와 시사점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