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치매관리사업의 현황과 개선과제
- 등록일2014-09-05
- 조회수602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4-08-18
-
출처
국회예산정책처
- 원문링크
-
키워드
#치매
- 첨부파일
국회예산정책처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차 례>
Ⅰ. 서 론
Ⅱ. 치매의 실태 및 치매관리사업의 현황
Ⅲ.
치매관리사업의 평가 방법
Ⅳ. 치매조기검진 확대의 사회적 편익
Ⅴ. 치매관리사업의 전달체계
Ⅵ.
치매관리서비스의 질 관리
Ⅶ. 치매연구사업의 추진
Ⅷ. 치매관리사업의 개선과제
참고문헌
[부록 1] 치매관리 분야 전문가 대상 AHP 설문지
[부록 2-1]
치매관리서비스 제공기관 담당자 대상 설문지
[부록 2-2] 치매관리서비스 제공기관 담당자 대상 설문지
1. 치매관리사업의 현황
가. 노인 치매의 실태
? 전체 인구 대비 65세 이상 치매 노인 비중은 2012년 1.1%에서 2050년 5.6%로, 5배 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노인 치매 유병률은 2014년 9.58%(61만명)에서 2020년 10.39%(84만명), 2050년 15.06%(217만명)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영국의 Academic Health Science Centra(AHSC)
-
다음글
- Entrepreneurship and Job Creation in the U.S. Life Sciences Sector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