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IT & Future Strategy 2014-제6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창조경제 활성화 전략
- 등록일2014-12-22
- 조회수444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4-11-12
-
출처
한국정보화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웨어러블
- 첨부파일
< 요 약>
? 동력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부상
-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부착해 컴퓨팅 행위를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지칭하며, 일부 컴퓨팅 기능 수행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까지 포함(MIT 미디어랩)
※ 휴대 가능한 ‘포터블(portable)’, 패치처럼 피부에 직접 부착하는 ‘어태처블(attachable)’, 신체에 이식하거나 복용하는 ‘이터블(eatable)’로 구분. 현재 안경형 장치 ‘스마트글라스’, 시계형 장치 ‘스마트워치’, 생체신호 데이터 수집에 특화된 ‘스마트밴드’ 등 활용
-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기에 진입하고 성장세가 둔화되는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가 되면서 대체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부상
- 인간·사물·기기 등 연결 대상과 범위가 기하급수적으로 확장되는 초연결 사회 도래로 사용자를 네트워크와 항상 연결시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중요성이 강조
? ICBM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연계·융합해 핵심 가치창출
- ICB(IoT-Cloud-Big Data)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융합한 서비스 발굴 확대
① 사물인터넷(IoT)과 연계해 스마트홈, O2O 커머스, 스마트자동차 서비스 발굴
② 클라우드컴퓨팅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으로 맞춤형 서비스 제공
③ 웨어러블 디바이스 센싱(Sensing) 기능을 활용한 빅데이터 수집과 활용
- 우수 컴퓨팅 능력과 모션 기능에 최적화된 스마트폰을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해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
...................(계속)
< 목 차>
Ⅰ. ICT 신성장 동력, 웨어러블 디바이스
Ⅱ.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신가치 창출
Ⅲ. 웨어러블 디바이스 활성화
전략
----------------------------------------------------------------------------------------------------
<
IT & Future Strategy 보고서>
「IT & Future Strategy 보고서」는21세기 한국사회의 주요
패러다임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 정보사회의 주요 이슈를 전망, IT를 통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NIA)에서 기획, 발간하는
보고서입니다.
----------------------------------------------------------------------------------------------------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