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일본은 어떻게 많은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할 수 있는가?

  • 등록일2014-12-30
  • 조회수367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4-11-25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노벨과학상
  • 첨부파일

 

올해 열린 노벨과학상 수상식에서 일본이 물리학상 3명을 배출함으로써, 2014년 11월 현재 일본의 노벨과학상(물리, 화학 생리·의학) 수상자는 누적 기준 물리학상 10명, 화학상 7명, 생리·의학상 2명으로 총 19명이다. 문학상, 평화상까지 포함하면 총 22명이다.

 

한국은 아직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전무한 상황이며, 우리나라 대다수 주요 언론매체에서는 일본의 노벨과학상 수상 성과의 주요 원인으로서 일본의 충분한 기초연구 투자를 지적하고 있다. 과연 정부의 기초연구에 대한 지원이 일본 노벨상 수상의 원인일까? 일본의 노벨과학상 수상 성과의 배경으로는 충분한 기초연구 투자가 지적되고 있으나, 그 이면은 상세히 살펴보면 개인, 연구 문화, 국가 정책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특성이 존재한다.

 

 

[개인 특성] 우수고-우수국립대 출신의 국내파 박사들이 대부분이며, 유년기부터 폭넓은 독서를 해온 교양인

[연구 문화 특성] 경쟁력 높은 국내 연구환경에서 도제 시스템으로 우수 연구자 육성

[국가 정책 특성] 국민 전체의 독서를 진흥하고 젋고 우수한 연구자의 진로 보장

 

 

이를 통해 엘리트 박사들이 국내에서 자유롭게 연구하고 후학으로 양성될 수 있는 연구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젊고 우수한 연구자의 집중육성을 위해 연구에만 몰두할 수 있는 자립적 연구환경을 제공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국민 전체의 사고력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독서 교육 및 독서 진흥 강화책이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