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전환 연구와 지속가능한 발전: 벨기에 플랑드르 기술연구소(VITO) 사례

  • 등록일2015-01-13
  • 조회수356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4-12-04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 원문링크
  • 키워드
    #기술연구소 사례
  • 첨부파일

 

벨기에 플랑드르 지역의 전략적 연구센터인 VITO(Vision on Technology)는 VITO는 지속가능 발전에 기여하는 기술혁신을 강조하며, VITO 내 ‘에너지와 환경 전환(Transitions Energy and Environment, 이하 TEM)’ 연구실에서는 연구의 전략적 방향 전환을 위한 지침으로 ‘전환’과 ‘전환 관리’를 받아들이고 있다.

 

VITO는 3개의 주요 연구영역과 8개의 연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4년 현재 연 예산은 1억 3,500만 유로이고, 750여명 이상의 인력이 근무하고 있으며, 조직 구조는 에너지, 환경의 질, 산업 혁신, 상용화 및 전략적 협업, 인사관리 및 일반 서비스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들은 2005~2006년에 걸쳐 범조직적인 전략 논의를 추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을 미래 활동의 기본 방향으로 받아들였고, 2009년 조직 내부 논의과정을 거쳐 지속가능 발전에 대한 관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2012년 「Transition in Research, Research in Transition」이라는 비전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그 후에도 기존의 구조·문화·행동방식의 근원적인 변화를 시도하며, 일련의 전환 관리 조직으로서의 임무 및 조직 문화 선도에 앞장서고 있다.

 

VITO의 연구는 현재와 미래의 주요 사회적 도전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주요 사회적 도전과제는 기후 변화, 식량 안보, 원자재의 희소성, 지속가능한 에너지 공급, 인구 고령화 등이며, 이들은 지속가능성과 전환의 필요성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향후 10년 간 주목해야 할 5대 주요 과제로서, 지속가능한 화학, 에너지, 건강, 원자재, 토지 사용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러한 VITO의 사례를 통해 전환과 전환 관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전환의 ‘내용’과 ‘과정’이 모두 필수불가결하며, 효과적인 지속가능 발전 궤적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의 전환(transition in research)과 전환의 연구(research in transition)의 전략적 접근을 위해서는 시스템적 사고방식, 초학제성, 실천연구 등의 내부적 전환 경로가 필요하다.

 

 

또한 조직 내부에 전환 사고나 전환 관리를 받아들이는 것은 근원적인 변화과정이기 때문에, 변화과정에서 명확한 가이드가 필요하며, 전환 과정에서 전환 사고를 통합하기 위해 상당한 자원과 지원이 필요하며, 따라서 전환정책지원센터, 사회 ·기술혁신센터 등의 설립 필요성이 대두되어야 한다. 전환 사고를 채택한 이후 장기적인 시스템적 사고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연구들의 상호연관관계에 대한 인식도 마찬가지로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전환 연구를 위해서는 전환 연구 플랫폼 구축, 전환 연구의 촉진자, 전환 연구자, 전환 자금 등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가 필요하며, 정책과 과학기술만으로는 사회의 도전과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가능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제시되는 해결책에 이해관계자들의 관점을 통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