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KEIT PD 이슈리포트 2014-12호-특집 (원격진료 - 미래형 의학 및 진단 기술)

  • 등록일2015-01-19
  • 조회수577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4-12-26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원격진료#진단 기술
  • 첨부파일

목적
원격 진료의 현황 및 향후 전망을 알아보기 위함.


주요현황
원격진료(Telemedicine)를 통해 환자 건강 상태와 진단 개선을 위해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다른 곳과 의료 정보를 교환할 수 있음.
의료비 지출 상승, 인구 고령화, 비용 절감을 위한 정부 정책, 그리고 고객위주의 트렌드와 맞물려 원격진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원격 진료 및 원격 건강관리 시스템은 의료 서비스 제공 방식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됨.
의료계에서 영상회의 솔루션을 커뮤니케이션 툴로 활용함으로써, 의료시장에서 영상회의 기술이 매우 중요한 기술로 자리잡게 됨. 이에 따라 임상용 관련 애플리케이션 사용도 늘어나는 추세임.
IT와 의료산업의 융합는 물론,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이 접목된 만큼, 의료 서비스 서비스 제공자와 IT기업들간의 인수합병이 상당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시사점
비디오 원격진료는 원격의료 산업의 핵심 분야 중 하나로, 원격의료 기술 중 가장 확실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더 많은 잠재적 기회가 있을 것으로 기대됨.
원격 모니터링, 비디오 원격진료, 모바일 헬스를 포함한 원격진료는 의료산업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간주되고 있고,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융합으로 이미 의료서비스는 새로운 형태로 변화될 준비를 마쳤음.
의료비 상환에 대한 문제가 아직 남아 있지만, 원격의료관리가 줄 것으로 보이는 혜택들이 더 클 것으로 보임.
결제방식 개선과 의료비 상환범위 확대는 향후 원격건강관리 시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