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자료연계를 통해 근거생성이 필요한 의료기술평가연구 과제 도출
- 등록일2015-02-26
- 조회수324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5-01-31
-
출처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기술평가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서 론
근거중심 보건의료란 개별 환자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사결정에 있어서 현재 가용할 수 있는 최상의 근거를 사용하는 것이다. 근거수준이 높은 근거생성 연구는 무작위배정 임상시험과 코호트 연구가 있으나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거나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비해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이 보유한 자료원을 활용 시 비용 효율적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원들은 각 기관의 고유 업무 수행을 위해 수집, 보관된 것이므로 단일 기관이 보유한 자료원만을 사용하는 경우 연구변수가 제한적이어서 결과 해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기관의 다양한 자료원 간 연계를 통하여 개별 자료원이 갖는 강점을 극대화하고 한계점을 상호 보완하여 질 높은 연구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개인정보보호법제정(2011년 9월 30일) 이후 공공, 민간부문, 비영리단체 및 개인을 포함하여 환자의 동의가 없는 경우 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의 수집 및 이를 이용한 연구가 불가능하게 되었기에 자료연계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이에 비해 한국보건의료연구원(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NECA)은 보건의료기술 진흥법의 개정(2013.7.30)을 통해 국가기관 및 공공기관의 민감정보 및 고유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자료를 연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술평가연구 중 자료연계를 통해 근거생성이 필요한 주제를 도출하고 우선순위를 적용한 주제를 발굴하여 실효성 높은 연구과제 수행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계속)
[목 차]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II. 선행연구 및 현황
1. 공공자료원 현황
2. 국외 자료원 연계를 통한 근거생성 현황
3. 국내 자료원 연계를 통한 근거생성 현황
4. 자료연계 및 우선순위 선정 기준
III. 자료연계를 통해 근거생성이 필요한 HTA 과제 도출 기준 설정
1. 자료연계 필요성 평가 기준
2. 자료연계가 필요한 HTA 주제의 우선순위 기준
IV. 자료연계를 통해 수행이 필요한 HTA 과제 도출 및 우선순위 과제 도출
1. 검토 대상
2. 주제 선정 결과
V. 요약 및 결론
VI. 참고문헌
VII. 부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