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KEIT PD 이슈리포트 2015-2호-이슈3 (농업로봇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 등록일2015-03-12
  • 조회수398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5-03-04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농업로봇
  • 첨부파일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농업로봇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목적]

● 지식과 정보, 기술 융합의 시대를 맞아 10년 내 가장 유망한 산업이자 우리나라의 가장 취약한 산업인 농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로봇기술 적용 관점에서 조망

● 세계농업의 로봇화를 이끄는 동인(動因)을 파악하고, 선제적 산업화 기술개발을 통한 농업과 로봇 연관 산업의 동반성장 모색

● 로봇기술을 통한 영농방법 혁신과 농업로봇의 글로벌 제품화를 위한 기술개발 전략과 정책방향 제언

 

[주요현황]

● 기후변화와 경지면적 축소에 따른 농업생산성의 유지, 환경보존, 안전 농산물 생산에 대한 수요 증가 등으로 농업로봇 시장은 빠른 성장세 지속 전망

● 현재 세계적으로 약 500여종의 농업로봇이 연구되고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실용화를 위한 기술개발 진행 중

● 농업로봇은 안전 농산물 생산, 노동력 고투입 농작업, 단순 반복, 고역 농작업,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정밀 농작업 분야를 중심으로 우선 산업화

 



[시사점 및 정책제안]

● 농업생산시스템의 혁신기술인 농업로봇은 친환경·고품질·안전 농산물 생산을 위한 우리농업의 미래동력으로서 성장 견인차 역할 전망

● 농업 당면 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한 농업로봇 개발방향과 법률, 제도, 정책을 포함한 로봇농업 기초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부 역할 제언

● 농업과 로봇 기술 융합을 기반으로 한 한국형 미래 농업모델 제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