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KEIT PD 이슈리포트 2015-3호-이슈3 (인간공학의 현황과 전망)
- 등록일2015-04-09
- 조회수380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5-03-30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간공학
- 첨부파일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인간공학의 현황과 전망
I. 인간공학 개요
I.1 정의 및 특성
■ 인간-시스템 인터페이스는 그림 I-1과 같이 인간과 시스템 사이의 신체적ㆍ인지적ㆍ감성적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영역으로서, 시스템 효율성과 더불어 사용성ㆍ안전ㆍ감성 품질을 향상시키고 차별화된 사용경험을 제공하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설계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 예컨대, 다양한 계기가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는 비행기 조종공간 설계의 경우, 조종사가 고속으로 비행하는 비행기를 원활히 조종할 수 있으려면 여러 계기로부터 수시로 정확한 정보를 신속-정확하게 파악하여 기기들을 적절히 조작해야 함. 조종사가 비행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조종할 수 있도록 인간의 신체적 특성뿐 아니라 인지적 특성까지 고려하여 계기와 조작기기들의 배치ㆍ형태ㆍ크기ㆍ색상ㆍ조작 방식 등을 인간공학적으로 설계할 필요가 있음
■ 인간공학(Ergonomics)이란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예: 제품, 정보, 서비스, 장비, 작업 공간, 업무 절차, 환경 등)을 인간의 신체적ㆍ인지적ㆍ감성적ㆍ사회적 특성에 대한 과학적 지식(예: 해부학, 인체측정학, 인체역학, 생리학, 심리학, 심물리학, 사회학 등)을 적용하여 인간의 특성, 능력 및 한계, 요구에 적합하도록 설계하는 학문[1]
■ Ergonomics란 그리스어의 Ergo(일, 작업; work)와 Nomos(자연법칙; natural laws)의 합성어이며, Ergonomics의 유사어로 Human Factors, Human Factors Engineering, Human Engineering, Engineering Psychology, Applied Psychology 등이 사용되어 왔음[1]
■ 산업혁명 시대에는 기능적 성능구현에 설계의 주안점을 두어 사용이 어렵고 불편해도 인간이 설계된 시스템에 맞춰 학습하고 불편을 감수하고 사용하였으나, 인간 존엄성 회복과 시스템 설계에서 인간요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시스템 중심 설계에서 인간 중심의 설계로 공학설계의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