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14년 개방형 과학기술정책 아젠다 발굴 연구
- 등록일2015-05-28
- 조회수384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5-05-19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정책
- 첨부파일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년 개방형 과학기술정책 아젠다 발굴 연구
1. 추진배경
? 창조경제의 실현을 위해서는 개방형 협력과 산·학·연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KISTEP에서는 고유임무를 정립함과 동시에 산·학·연 전문가와 협동·융합연구를 통하여 다각적 시각의 접근을 통한 새로운 과학기술 이슈를 발굴해야하며 다양한 정책방안 마련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협동·융합연구를 확대를 위한 개방형 협력은 최근 민관협력, 산학협력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으며, 이러한 개방형 협력의 적용을 통한 다양한 아이디어의 투입은 정책입안자와 정책 수혜자 간의 격차를 좁히고, 정책 입안 과정에 반영될 정책이슈를 발굴하는 미래지향적 협력방안의 일환이 될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 또한 개방형 협력을 통해 새로운 과학기술정책 이슈를 발굴 하고 정책방안을 제시하여 창조경제 구현에 이바지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총 2차례에 걸쳐 개방형 협력 방안의 일환인 “Creative KISTEP Fellowship Program”을 실행하였다. 산·학·연 전문가들과 석·박사 대학원생들의 연구비 지원을 통하여 새로운 과학기술 정책 이슈 발굴하고 정책 방안을 제시하여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의 현장감 있는 정책 이슈를 공유하고, 실질적인 연구현장의 아이디어를 발굴·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방형 정책이슈 발굴 및 플랫폼의 성공적인 모델을 시험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현장의 이슈발굴을 통해 정책 아젠다 pool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지속 발전을 위한 보건산업 육성정책과 법체계 연구
-
다음글
- 2015년 KISTEP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 격차, 불평등 증가 대응을 위한 미래유망기술-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