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2014 감염병 감시연보
- 등록일2015-07-02
- 조회수605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5-07-02
-
출처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감염병
- 첨부파일
2014 감염병 감시연보
[요 약]
● 질병관리본부는 매년 국가감염병감시시스템(National Infectious Disease Surveillance System, NIDSS)을 통해 신고?보고된 법정감염병 발생현황을 분석 정리한 「감염병 감시연보」를 발간하고 있다.
? 지난 한 해 동안 국가감염병감시시스템(NIDSS)을 통해 신고?보고된 전수감시 대상 54종의 법정감염병 중 36종 감염병에서 발생이 보고되었다.
● 2014년도 급성감염병* 신고 환자수는 92,722명(인구 10만명당 181명)으로 2013년 75,733명(인구 10만명당 148명)에 대비 16,989명(2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도별 감염병 발생 추이 >

* 법률에 명시된 78종 감염병 중 결핵, 한센병, 후천성면역결핍증과 표본감시 감염병 제외
● 2014년도 법정감염병 군별 발생현황을 보면,
▶ 제1군감염병은 지역사회 내에서의 유행이 보고되어 전년에 비해 발생이 증가하였다..
- 장티푸스는 전년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으며, 특히 경남지역의 발생이 크게 증가하였고, 전 연령층에서 발생(2013년 156명 → 2014년 251명)
- 세균성이질은 2013년에 중국산 수입식품과 관련 있는 유행으로 발생이 증가하였던 반면 2014년에는 다소 감소하였고(2013년 294명 → 2014년 110명), 전체 35%가 국외 유입 사례임
-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은 대구지역 유치원에서의 유행으로 발생이 증가하였고(2013년 61명 → 2014년 111명), 10세미만 연령이 전체 발생의 60% 차지
- 제2군감염병은 해외유입 사례에 의한 국내 2차 전파, 감수성자에 의한 청소년 및 성인 연령층의 발생과 신고율의 꾸준한 향상으로 전년에 비해 증가하였다.
- 홍역은 해외유입사례에 의한 국내 2차전파로 면역력이 없는 소아, 집단생활 청소년, 대학생까지 확산(2013년 107명 → 2014년 442명)
- 유행성이하선염은 그간 누적된 감수성자로 인한 중.고등학교에서의 유행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신고율 향상 등의 원인으로 지속적으로 증가(2013년 17,024명 → 2014년 25,286명, 전년대비 48.5% 증가), 10대 연령이 전체 발생의 62% 차지
- 수두는 법정감염병으로 도입된 이후(2006년) 꾸준한 신고율 향상 등의 영향으로 증가 (2013년 37,361명 → 2014년 44,450명)
-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 빨간집 모기 밀도가 증가하는 8월말~9월에 대부분 발생(85%)이 보고되었고, 40세 이상 연령이 전체 발생의 88% 차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메르스(MERS) 사태와 중소기업 대응 과제
-
다음글
- 2014년 기술수준평가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