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미래성장동력 종합실천계획 개요 및 방향

  • 등록일2015-07-13
  • 조회수429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5-07-07
  • 출처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미래성장동력
  • 첨부파일
    • pdf 미래성장동력종합실천계획개요및방향_GGDCBE_2015_n07s554_20.p... (다운로드 2161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출처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미래성장동력 종합실천계획 개요 및 방향


미래성장동력 육성은 국가의 지속적 경제발전 위한 최우선 과제

우리나라는 과거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추진 이후 불과 50여년의 짧은 기간 내에 세계에서 유례없는 경제성장을 이룩하여 원조수혜국에서 원조공여국으로 발전한 유일한 국가가 되었다. 또한 세계 9번째로 무역 1조 달러 돌파, 세계 13위의 GDP(국내총생산)를 달성한 경제대국으로 성장하였다. 그동안 우리나라 특유의 근면성을 바탕으로 세계 선진 기술을 신속히 도입 및 발전시키는 소위 ‘패스트 팔로어(Fast Follower)’ 전략을 통해 수출을 중심으로 눈부신 산업발전을 이루어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전략의 한계에 봉착하게 되고 글로벌 경제위기에 따른 여파로 경제성장률과 잠재성장률이 동반 하락하는 등 우리나라 경제에 적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현 위기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우리 정부는 과학기술과 ICT의 융합을 통해 산업과 산업, 산업과 문화가 융합하여 새로운 성장동력과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고용을 확대하고자 하는 창조경제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래창조과학부는 작년 초 13개 분야의 미래성장동력을 발굴하여 육성에 착수하였고, 산업통상자원부도 뒤이어 13개 산업엔진프로젝트를 발굴, 착수하였다. 올해 들어 정부는 미래성장동력과 산업엔진프로젝트를 통합하여 19대 미래성장동력으로 확대 개편함으로써 미래성장동력 사업의 보다 조직적이고 일사불란한 추진에 매진하고 있다.


지난 3월 이례적으로 미래부 장관과 산업부 장관이 한자리에 모여 미래성장동력-산업엔진 종합추진계획을 발표하고 협력을 다짐한 것은 매우 긍정적 조치라 할 수 있다. 정부는 이 계획을 통해 올해 약 1조 원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총 5조 7천억 원을 투자하여 2024년까지 수출 1천억 달러 규모의 신성장동력을 육성할 계획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