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14년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 등록일2015-09-10
  • 조회수512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5-09-10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혁신
  • 첨부파일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14년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제 1 장 개 요


1. 배경 및 필요성
■ 21세기 지식기반경제 하에서 과학기술은 국가경쟁력의 원천으로 인식

○ 세계 각국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관련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조성
○ 우리나라도 지속적인 R&D 투자 확대* 및 관련 인프라 구축을 통해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의 과학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 중
* 우리나라 총 연구개발비 및 정부R&D예산 추이

 

■ 전 세계적으로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자국의 과학기술 혁신 수준에 대한 관심이 증대
≫ OECD에서는 회원국을 대상으로 경제, 사회, 교육 뿐 아니라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국가간 비교 가능한 통계지표를 제공
≫ EU는 2001년부터 회원국들의 상대적 혁신 성과를 평가하고 벤치마킹하기 위해 Innovation Union Scoreboard를 매년 발간
≫ IMD, WEF 등은 매년 과학기술 혁신역량을 주요 지표로 활용하여 국가 경쟁력을 평가하고 결과를 발표
≫ 우리나라는 OECD 국가들의 과학기술경쟁력 수준을 파악하고 과학기술혁신역량의 강·약점을 진단하여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국가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를 2006년부터 시행 중


■ 이와 더불어 오늘날의 세계는 국가 간 경쟁에서 지역·도시 간 경쟁으로 확대되고 있어, 국가 단위의 혁신역량뿐만 아니라 지역 단위의 혁신역량에 대한 관심과 분석 또한 증가하는 추세...................(계속)

 

 

[목 차]
제1장 개 요
1.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표 및 내용
3. 추진 방법
4. 기대 효과
제2장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방법론
1.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개념
2.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모형
3.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분석 방법론
4. 2014년 분석 개선 현황
제3장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평가 분석
1. 지역 과학기술혁신역량지수(R-COSTII)
2. 부문 및 지표별 결과
2-1. 자원 부문
2-2. 활동 부문
2-3. 네트워크 부문
2-4. 환경 부문
2-5. 성과 부문
제4장 응용 분석
1. 부문별 기여도 분석
2. 지역 소득 수준을 활용한 유형별 분석
3. 투입-성과 효율성 비율(Efficiency ratio) 분석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