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OECD 회원국 과학기술혁신정책 동향 분석
- 등록일2015-09-14
- 조회수408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4-09-30
-
출처
OECD 대표부
- 원문링크
-
키워드
#OECD
- 첨부파일
출처 : OECD 대표부
OECD 회원국 과학기술혁신정책 동향 분석
◆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고도의 지식경제가 국가 경쟁력의 근간으로 부상했으며, 지속적인 지식 창출, 기술혁신, 창조적 파괴를 통한 신기술, 신시장, 신산업 창출이 양질의 고용 창출, 소득 증대, 지속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과 국제사회에서의 상생적 공조협력이 요구됨
< 주요정책동향 >
○ 공공성이 강한 부문에서 기술혁신을 연구개발, 구조적 변화 유도, 막대한 재원의 조달, 핵심기술의 리더쉽 확보 등을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상호협력이 중요한 혁신의 시너지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민관협력의 촉진을 위해서는 민간참여를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함
○ 이러한 혁신의 과정에서 IPRs, Big Data 활용, 기업가적 발상, 글로벌 가치사슬, 전략적 민관협력(Public/Private Partnership), 시스템 혁신, 재정지원(벤쳐 금융, 엔젤 투자, Crowdfunding, 조세), 국제화 등이 여전히 주요 이슈로 등장하고 있음
○ 연구개발투자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Frascati Manual 개정작업이 EAS에서 분야별 워킹그룹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연구개발 및 연구인력의 정의, 통계조사, 방법론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봄
< 시 사 점 >
○ 새로운 성장동력의 핵심인 지식/기술/인프라를 제도화하여 혁신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시스템을 혁신하고, 보완적인 민관협력을 활성화하여 자원의 제약을 극복하고 시너지를 확산하는 한편, 국제사회에서의 상생적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
- 정책동향 OECD Health Statistics 2024(요약본) 소책자 2024-10-15
- 정책동향 OECD Health Statistics 2023(요약본) 소책자 2024-10-14
- 기술동향 [글로벌 나노기술 정책 및 기술 동향 24년 7월호] OECD, '첨단재료:나노캐리어 사례 연구' 워크숍 보고서 발간 2024-08-19
- 정책동향 [R&D 이슈브리프] OECD-FAO 농업 전망(Agricultural Outlook) 2024-2033 발표 2024-08-14
- 정책동향 OECD MSTI 2024-March 주요 결과 2024-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