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신기술 발전에 따른 산업 지형의 변화 전망과 대응전략
- 등록일2016-01-20
- 조회수473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5-12-31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 원문링크
-
키워드
#신기술#산업
- 첨부파일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신기술 발전에 따른 산업 지형의 변화 전망과 대응전략
[목 차]
요약
제1장 연구의 개요 및 분석 틀
제2장 인지컴퓨팅 발전에 따른 산업 지형의 변화 전말과 대응 전략(2권 요약)
제3장 3D 프린팅 발전에 따른 산업 지형의 변화 전망과 대응 전략(3권 요약)
제4장 사물인터넷 발전에 따른 산업 지형의 변화 전망과 대응 전략: 헬스케어 산업을 중심으로(4권 요약
제5장 핀테크 발전에 따른 산업 지형의 변화 전망과 대응 전략(5권 요약)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Summary
Contents
[요약]
1. 연구의 개요
□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세계 경제의 저성장 기조 속에서 신기술(emerging technologies)은 새로운 성장동력의 맹아가 될 수 있다는 기대 때문에 기업과 정부의 관심 대상
○ 이런 기대를 반영하여 매년 여러 기관에서 미래 유망 신기술을 발표하고 있으나 이런 발표들은 두 가지 한계를 지님
- 첫째, 신기술의 가능성 언급에서 그칠 뿐 이 기술들이 기존 산업에 어떻게 침투해서 산업 지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자세한 분석을 하지 않음
- 둘째, 신기술이 지닌 가능성과 그것이 제공하는 기회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신기술의 파괴적 속성은 소홀히 다루는 경향
○ 신기술에 대한 현실적인 대응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단지 유망 기술을 뽑는 수준에서 벗어나서 그 기술들이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 가능한 포괄적이고도 구체적인 예측이 필요
□ 연구의 목적과 문제의식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기술이 미래 산업의 지형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종합적이고 구체적으로 전망하고 기업과 정부 차원의 대응 전략을 제안하는 것
- 첫째, 신기술의 특성과 발전 가능성을 분석하고, 이것이 기존 산업의 제품, 서비스, 공정, 수익모델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전망
- 둘째, 신기술과 새로운 제품, 서비스, 공정, 수익모델의 등장이 산업 내 주도 기업의 위치나 가치사슬 등 산업 지형에 어떤 변화를 촉발할지 예측
- 셋째, 이러한 기술 발전과 산업적 변화를 촉진하거나 제한하는 기술, 제도, 시장/소비자 측면의 요인들을 분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