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융합 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 개선 방안
- 등록일2016-02-18
- 조회수479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5-12-31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 원문링크
-
키워드
#융합 연구개발사업
- 첨부파일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융합 연구개발사업 평가체계 개선 방안
□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융합연구의 부상
- IT, BT, NT 등 신기술 등장으로 연구 범주의 확장
- 지속적 경제성장을 위한 새로운 돌파구 필요
- ‘국가융합기술발전기본계획’ 수립으로 범부처적 지원 기반 마련
○ 융합연구 평가체계 개선의 필요성
- 융합연구의 양적 확대에 비해 글로벌 트렌드와 비교할 때 한계 발생
- 융합연구의 성과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은 기능적, 성과 위주의 평가
- 모험적, 도전적 융합연구 지향을 위해 새로운 평가방식 접근이 필요
[주요 연구내용]
□ 사례분석: 융합연구의 특성
○ 융합연구의 특성
- 전통적 연구방법에서는 불가능한 새로운 발견
- 연구생산성의 극적인 개선
- 연구 목적의 불확실성 존재
- 용어, 문화 장벽으로 인한 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
- 다른 분야의 지식 습득 및 이해도 향상을 위한 시간과 노력 필요
□ 연구자 인식 설문조사: 융합연구의 특성
○ 설문결과, 기존 연구와 구별되는 융합연구의 차별성 존재
○ 연구진 구성, 연구주제 선정, 연구방법 설계 등 연구계획 단계에서 융합연구의 차별성이 크게 나타남
○ 융합연구는 혁신원천의 다양성, 연구방법의 가변성, 연구성과의 불확실성, 인적네트워크 범위, 기업과의 접촉 빈도가 기존연구 대비 크게 나타남
[결론 및 정책제언]
□ 주요 연구결과
○ 우리나라의 융합연구는 융합 초기단계인 다학제 연구가 주로 수행
○ 융합 방법론 개발, 학문적 기반 부족 및 장기 융합연구 미흡
○ 현재는 실증주의, 책무성 관점에서 융합연구 평가 시 정량적 성과 강조
○ 융합연구의 특성은 혁신원천의 다양성, 연구방법의 비정형성, 연구성과의 불확실성, 네트워크의 개방성 등으로 분석됨
○ 융합연구 평가체계는 융합연구 특성을 반영한 평가지표 선정, 전문적·다면적 평가를 위한 평가자 풀 구축 및 PD제도 확대, 장기적인 추적평가를 통해 개선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