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우리나라 과학기술 주요 지표 한눈에 보기
- 등록일2016-04-01
- 조회수531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04-01
-
출처
KISTEP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 주요 지표
- 첨부파일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우리나라 과학기술 현 수준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주요 지표 한눈에 보기」홍보자료 발간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30일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주요 지표를 모아 대국민 홍보자료 「우리나라 과학기술 주요 지표 한눈에 보기」를 발간하였다.
ㅇ 이번 홍보자료는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우리나라 과학기술 수준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과학기술 투자부터 성과창출까지 전주기에 걸쳐 7개 분야 주요 지표에 대한 변화 추세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 R&D 투자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GDP 대비 총 R&D 투자 비중은 세계 1위, 투자 규모는 세계 6위 수준이나,
ㅇ 미국, 일본 등은 1970년대부터 GDP 대비 2% 이상을 R&D에 투자해 온 반면, 우리나라는 연구개발 역사가 짧아 선진국과 누적 R&D 투자액은 큰 격차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도 지속적인 R&D 투자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과학기술의 성과를 보여주는 논문, 특허, 기술 수출 등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고 나타났다.
ㅇ 논문의 경우 논문의 질을 평가하는 ‘피인용 상위 1% 논문 건수’가 지난 10년 동안 3배 이상 증가하는 등 상위 1% 논문의 경쟁력은 전체 논문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다만 전체 ‘SCI 편당 피인용 횟수’가 증가 추세에도 세계 31위에 머물고 있는 이유는 전체 논문 건수 급증에 기인한 것으로, 관련하여 정부는 연구개발 평가 시 논문 건수에 대한 평가를 지양하여 논문의 질을 제고하는 노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ㅇ ‘삼극특허 등록 수’가 세계 4위, ‘표준특허 보유 건수’가 세계 5위로 나타나는 등 특허의 양적 증가와 함께 품질도 높아지고 있으며,
-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 건수, 이전율, 기술료 수입 등 R&D 사업화 성과가 개선되었다.
ㅇ 2000년부터 기술 수출의 급속한 확대와 함께 기술무역수지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세계 주요 평가기관들의 과학기술경쟁력 평가에서도 세계 상위권으로 평가되는 등 과학기술 분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성과가 나타났다.
□ 최종배 미래부 과학기술전략본부장은 “이러한 성과가 가속화될 수 있도록 정부 R&D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특히, 창의적?도전적 연구를 통해 연구개발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데 주안점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