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바이오경제 실현을 위한 도전과 과제
- 등록일2016-04-11
- 조회수537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04-01
-
출처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경제
- 첨부파일
출처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바이오경제 실현을 위한 도전과 과제
저자 : 최윤희 산업연구원 신성장산업연구실 미래산업팀 팀장
총체적 관점에서 바이오경제 생태계 조성
바이오 기술이 발전하고 IT(정보기술), NT(나노기술) 등 신기술과의 융합이 급속히 진전되면서 바야흐로 바이오경제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가 이러한 시대적 환경 속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국내 바이오경제를 실현하기 위해서 중요한 과제가 무엇인가를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바이오경제의 의미
우선, 바이오경제란 무엇인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09)는 바이오경제를 "바이오기술로 의한 새로운 발견이 관련제품의 보급이나 서비스의 향상을 통해 인류에 편익을 다져다주는 다양한 경제활동"이라고 정의하였고, 2030년에는 바이오경제가 IT(정보기술) 기반 경제에 버금가는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다시 말해, 바이오경제란 바이오기술 혁신을 통해 생산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의 바이오산업이 창출해내는 '사회경제적 편익과 효용'을 총칭하는 것이다. 최근 바이오경제 실현에 대한 기대가 급속히 확대되는 것은, 다양한 바이오정보가 디지털화되고 IT, NT와 융합되면서 보건의료 분야뿐 아니라 식량과 에너지 등 많은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세계 노인인구 급증
-
다음글
- 2015년도 KISTEP 통계브리프
관련정보
지식
동향
- 정책동향 일본 바이오 정책 실행계획 수립 2024-10-29
- 산업동향 바이오경제 시대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 2024-08-19
- 기술동향 바이오경제 이끌어 갈 합성생물학, 韓·美동맹으로 날개 단다 2023-05-10
- 정책동향 [2024년 1호] (정책동향) 미국 바이오경제를 위한 데이터 인프라 구축 필요성 (美 OSTP, 12.20) 2024-02-06
- 제도동향 [글로벌 산업정책·기술·시장동향] 워싱턴DC Weekly Brief 1월 - 美 NSTC의 바이오경제 이니셔티브를 위한 데이터 비전, 필요성 및 액션 보고서 2024-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