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미국 연방정부 R&D 지원제도와 우리기업 활용방안

  • 등록일2016-05-09
  • 조회수482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04-21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미국 연방정부 R&D#미국 R&D
  • 첨부파일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미국 연방정부 R&D 지원제도와 우리기업 활용방안

 

 

[요 약]

 

 □ 미국의 R &D 투자현황

ㅇ 연구개발 혁신선도국인 미국의 R &D 투자액은 연간 5천억달러 규모

ㅇ 특히, 혁신기술의 토대가 되는 기초·응용연구에서 막강한 영향력 행사

ㅇ 연방정부는 6대 R &D 주무기관(DARPA, NIH, DOE Office of Science, NSF, NASA, NIST)을 통해 막대한 외부 연구지원금을 제공

   * 특히, 전체 기초·응용 연구의 38%에 달하는 연간 626억 달러를 투자하며 혁신기술의 토대가 되는 기초·응용 연구에서 막강한 영향력 행사

 

□ 한국의 R &D 투자현황

ㅇ 한국의 GDP대비 R &D 투자비율*은 세계 2위권 수준이나 글로벌 기술개발 협력 참여도는  최하위권 수준

   * 이스라엘(4.3%), 한국(4.2%), 일본(3.5%), 스웨덴(3.3%), 대만(3.1%), 독일(2.8%) 순

 - 룩셈부르크, 이스라엘, 스위스, 벨기에, 핀란드 등 대표적인 강소국가들은 활발한 국제 연구개발협력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확보

ㅇ 연구개발 비용과 노하우가 부족한 우리 기업들은 글로벌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미국과의 R &D 협력확대 적극 추진 필요

 

□ R &D 협력기회 참여방안

ㅇ (사전조사) 연방정부의 부처별 R &D 예산 편성과 정책 우선순위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선행하여 타깃분야, 기관, 프로그램 파악

ㅇ (모니터링) R &D 예산이 집중되는 6대 정부 부처(기관)의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상시 모니터링하여 기회 발굴

ㅇ (파트너링) 현지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과의 파트너링은 필수

ㅇ (프로그램 활용) 연구개발 지원금(Grant) 제공방식 외에도 연방정부에서 운영하는 장기차관, 대출보증, 매칭펀드 방식의 스타트업 투자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

 

 

[목 차]

요 약 / 1

 

Ⅰ. 조사배경 / 2

 

Ⅱ. 미국 연방정부 R &D 투자현황 / 3

1. 미국 전체 R &D 투자현황

2. 연방정부의 R &D 투자

3. 연방정부 R &D 기관

4. 연방정부의 해외 R &D 협력

[참고자료 1] 미국 정부의 국제기술협력 프로그램

 

Ⅲ. 연방정부 R &D 지원제도 활용방안 / 12

1. 한국의 해외 R &D 협력 현황

2. 對美 R &D 협력 기회 및 방안

 

Ⅳ. 연방정부 R &D 지원 프로그램 / 16

 

Ⅴ. 시사점 / 21

 

[참고자료 2] 해외기술협력 사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