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일본, 의료분야 빅 데이터 활용 방안
- 등록일2016-05-16
- 조회수500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04-30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분야 빅 데이터
- 첨부파일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 통권 213호
일본, 의료분야 빅 데이터 활용 방안
글 : 우청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의료분야에서 빅 데이터 활용의 필요성
저출산 및 초고령화로 인해 연간 의료비 및 간호비가 증가함으로써 일본 사회 복지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표 1>은 2010년부터 2060년까지 일본 인구 비율 변화에 따른 의료비 증가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총 인구는 저 출산으로 인해 2010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했고, 65세 이상 노인 비율(고령화율)은 2060년에는 약 40%를 육박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이로 인해 국민들이 부담해야하는 의료비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증가하는 사회·경제적 비용감소 및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정부는 빅 데이터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그림1]과 같이 의료 빅 데이터를 활용해 한정된 의료 자원(의료종사자, 의료시설 등)을 배분 최적화하고, 개인별 미래 질병 발병을 예측해 의료·보건 분야 경쟁력을 강화하고, 일자리 창출 및 의료비 감소를 기대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모바일헬스 표준기반 R&D전략
-
다음글
-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