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보건산업 글로벌 진출 활성화를 위한 투자정보체계 구축 방안 연구

  • 등록일2016-08-01
  • 조회수416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07-25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산업#투자정보체계 구축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 글로벌 진출 활성화를 위한 투자정보체계 구축 방안 연구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 미래 성장 동력으로서 잠재력이 큰 바이오헬스 등 보건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정부의 다각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정책 펀드가 조성되고 있음
- 글로벌 제약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제약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글로벌 제약 산업 육성펀드 1,2호 운용(총 2,350억원)
- 의료기관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병원해외진출펀드 조성 및 운용( 3호 펀드,500억원)
- 제약 바이오 의료기기 등 보건산업 전 분야의 해외시장 진출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글로벌헬스케어펀드 조성(1,500억원)


? 성공적인 펀드의 조성과 더불어 목적에 맞는 성공적인 운용을 위해 운용사와 투자유치 기업에 대한 정보제공이 동반되어야 함
- 운용사는 투자를 제안한 대상 회사의 검토를 통해, 수동적 투자 방식을 넘어 적극적으로 유망 기업을 발굴 및 투자할 수 있는 정보제공 필요
- 또한 해외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이 목적에 맞는 대상에 대한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해외진출 현황 및 수요를 검토하고 관련 해외 펀드 사례를 조사하는 한편, 보건산업 분야 해외 투자처 및 펀드 운용사의 투자결정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투자정보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2. 연구 방법
? 국내 보건산업분야 기업들의 해외 투자 현황 파악 및 수요 예측
- 보건산업의 다양한 분야 중 현재까지 펀드조성의 정책목표를 고려하여 제약, 의료서비스, 의료기기로 그 범위를 한정하고 그 중 펀드규모 및 시장 성숙도를 고려하여 제약 산업을 중심으로 분석
- 수출입은행 등 주요 해외 진출관련 기관들의 통계와 기존 기업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직접투자 현황 및 수요를 파악함
- 과거의 해외직접투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향후 해외 직접투자 규모를 시계열 모형을 통해 예측함


? 주요국의 정책펀드사례를 조사하고 현재 조성 및 운용중인 국내 보건산업 분야 정책 펀드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발굴
- 북미, 유럽 등 주요국들의 정책펀드 중 정책목표가 유사한 펀드들의 투자 방식 및 대상 등을 분석하고 국내 정책펀드에 참고가 될 만한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제시
·미국의 경우 사모펀드의 발달로 연방정부 차원에서 기업을 지원하는 유사 펀드는 SBA(중소기업청)의 SBIC 프로그램이 유일함
·캐나다는 규모나 종류면에서 가장 많은 기업지원 정책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주정부별로 다양한 펀드를 조성 운용하고 있어 그 특징 파악이 필요


? 운용사 투자 및 기업의 해외 진출에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고 현재의 일반적인 투자 정보 지원 서비스 현황을 바탕으로 구축이 필요한 보건산업 투자정보체계를 제시
- 현재 보건산업 분야 정책펀드를 운용하고 있는 운용사의 투자 방식을 인터뷰를 통해 파악하고 필수 정보의 현황과 수집방법을 마련 - 기업과 운용사의 정보수집 애로를 파악하고 해결책과 필요정보를 중심으로 국내외 DB와 신규조사를 통한 수집 정보대상을 정리함
- 투자정보체계 구축을 통한 정보체계의 향 후 활용방안의 예시를 제시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