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IMD 2016 세계 경쟁력 연감 분석
- 등록일2016-08-30
- 조회수5057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08-30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IMD#세계 경쟁력 연감
- 첨부파일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IMD 2016 세계 경쟁력 연감 분석
과학 및 기술인프라 중심
[요 약]
□ IMD(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는 1989년부터 매년 상반기에 「IMD 세계 경쟁력 연감(The IMD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을 발표
○ IMD는 전 세계 61개 국가의 국가경쟁력을 평가하여 국가별 순위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을 발표해 오고 있음
○ 평가체계는 경제운용성과, 정부행정효율, 기업경영효율, 발전인프라 등의 4개 부문과 하위의 20개 항목, 342개의 지표로 구성됨
- 본 조사자료에서는 발전인프라 부문의 하위 항목인 과학과 기술인프라 항목을 중심으로 결과를 분석
□ ’16년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은 전년 대비 4단계 하락한 29위
○ 홍콩, 스위스가 전년 대비 각각 1단계, 2단계씩 순위가 상승하여 1,2위를 차지 하였으며, 미국이 부동의 1위에서 밀려남
- 12개 아시아 국가 중 홍콩과 일본, 태국, 인도 등 4개국의 순위가 상승. 반면, 싱가포르, 대만, 말레이시아, 중국, 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몽골 등 8개국의 순위는 하락
○ 4개 부문 중 정부행정효율(28위→26위, ↑2) 부문은 전년 대비 상승한 반면,
- 기업경영효율(37위→48위, ↓11)과 경제운용성과(15위→21위, ↓6), 발전인프라(21위→22위, ↓1) 부문은 전년 대비 하락
□ 과학인프라는 전년 대비 2단계 하락한 8위를 차지
○ 발전인프라의 과학인프라 항목과 경제운용성과의 고용 항목은 각각 8위와 6위로 20개 하위 평가 부문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
○ 총 25개 지표(정량 19개, 설문 6개) 중 3개 지표의 순위가 상승하였고 9개 지표의 순위는 하락, 11개 지표는 동일, 1개 지표는 신규임
- 지표별 순위의 상승은 1~3단계로 소폭인 반면, 하락은 1~15단계의 큰 폭인 점이 순위 하락의 원인으로 분석, 신규 지표 1개의 순위도 기술인프라 순위보다 현저히 낮음
○ 10위권 이내(강점 지표) 지표가 14개, 25위권 이하(약점 지표) 지표가 9개임
- 연구개발투자, 연구개발인력, 특허 관련 지표는 몇 년간 소폭 변동하며 상위권
- 과학인프라 순위에 비해 지적재산권 보호정도와 노벨상 수상 관련 지표, 지원제도 관련 설문지표 등은 하위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