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는 IP의 역할

  • 등록일2016-09-26
  • 조회수5053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09-16
  • 출처
    한국지식재산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4차 산업혁명
  • 첨부파일

출처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는 IP의 역할

 

● 지난 2016년 1월에 열린 제 46회 다보스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이해」라는 주제로 급속도로 발전하는 ICT 기술이 인류에 가져올 변화에 대하여 심도 있는 회의가 진행되는 등 최근 새로운 사회로의 변화를 가속화할 것이라는 점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음


● 4차 산업혁명에서는 디지털 세계, 생물학적 영역, 물리적 영역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기술융합’이 일어나며, 4차 산업혁명에서 헤게모니를 잡으려는 세계 각국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임
● 우리나라도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나침반이 될 거대 비전을 공유하고, 새로운 산업구조에 대비하는 역량을 축적하여 활로를 개척해 가야 하는 중차대한 시점임


●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주요국의 IP전략 및 국내 현황을 검토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 작성자 : 이성기 (한국지식재산연구원 경제연구팀, 부연구위원)

※ 본 보고서의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인 견해이며 한국지식재산연구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님을 밝힙니다.


Ⅰ. 개요

□ 최근 새로운 사회로의 변화를 가속화할 것이라는 점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음*
     * 지난 2016년 1월에 열린 제46회 다보스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이해」라는 주제로 급속도로 발전하는 ICT 기술이 인류에 가져올 변화에 대하여 심도 있는 회의가 진행
 ㅇ 과거 1~3차 산업혁명 역시 인류의 발전에 엄청난 기여와 변화를 가져왔으며, 4차 산업혁명 또한 인류가 경험하지 못 한 새로운 시대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
 ㅇ 4차 산업혁명은 정체에 빠진 경제성장의 돌파구를 마련해줄 것으로 기대돼 특히 큰 주목을 받고 있음

□ 4차 산업혁명에서는 디지털 세계, 생물학적 영역, 물리적 영역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기술융합’이 일어남
 ㅇ 4차 산업혁명은 필연적으로 새로운 부가가치의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반면 전통산업과 사회구조는 해체수준의 도전에 직면하게 될 것임
 ㅇ 이와 같이 기존 산업 지형이 급변기에 진입하면서 지속성장을 이어가기 위한 새로운 전략과 혁신적 아이디어가 필요한 시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