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일차의료 중심의 만성질환관리 서비스 및 수가 모형 개발

  • 등록일2017-01-24
  • 조회수5138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6-11-30
  • 출처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만성질환#만성질환관리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일차의료 중심의 만성질환관리 서비스 및 수가 모형 개발

 

 

[차 례]


요약문
Ⅰ.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의 필요성
3. 연구목적
Ⅱ. 기존 만성질환관리 모델
1. 우리나라의 만성질환관리모델
2. 외국의 만성질환관리모델
Ⅲ. 연구 방법
1. 고혈압·당뇨병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 내용
2. 고혈압·당뇨병에 대한 관리계획 수립 서비스
3. 고혈압·당뇨병 연계 서비스
4. 고혈압·당뇨병 관리를 위한 비방문 서비스
5. 고혈압·당뇨병 관리를 위한 자가 모니터링 지원 서비스
6. 시범사업 서비스 모델 개발
Ⅳ. 연구 결과
1. 우리나라 만성질환 관리 현황
2. 고혈압·당뇨병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 내용
3. 고혈압·당뇨병에 대한 포괄적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자문 회의
4. 고혈압·당뇨병에 대한 관리계획 수립 서비스
5. 고혈압·당뇨병 연계 서비스
6. 고혈압·당뇨병 관리를 위한 비방문 서비스
7. 고혈압·당뇨병 관리를 위한 자가 모니터링 지원 서비스
8. 시범사업 서비스 모델
Ⅴ. 결론 및 제언
VI. 참고문헌
ⅥI. 부록_의사용 메뉴얼

 

 

일차의료 중심의 만성질환관리 수가모형 개발

 

 

[차 례]


요약문
Executive Summary
Ⅰ.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의 목적과 범위
3. 연구 내용 및 방법
Ⅱ. 만성질환관리를 위한 수가모형의 이론적 고찰
1. 수가모형 개발의 이론적 배경
2. 지불제도 유형별 특성
Ⅲ. 만성질환관리를 위한 국외 수가 사례 조사
1. 미국 Comprehensive Primary Care (CPC) Initiative
2. 영국 Quality and Outcome Framework (QOF)
3. 호주 Practice Incentive Program (PIP)
4. 독일 Disease Management Programs (DMP)
5. 시사점
Ⅳ. 국내 일차의료 중심의 만성질환관리 현황 및 문제점
1. 국내 주요 만성질환관리 성과
2. 일차의료 속성에 따른 국내 만성질환관리 현황
3. 국내 만성질환관리 수가 프로그램 및 수가 항목 현황
4. 시사점
Ⅴ. 일차의료 중심의 만성질환관리를 위한 수가모형 개발
1. 기본 원칙
2. 수가모형의 틀
3. 수가모형 구성 요소
4. 단계적 수가모형 개편
5. 1단계 수가모형 도입에 따른 의원 요양 급여비용 시뮬레이션
Ⅵ. 시범사업 2차 연도 초기 평가 수가 산정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6. 소결
Ⅶ. 참고문헌
Ⅷ. 부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