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지능정보사회 선도 인공지능 프로젝트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등록일2017-02-02
  • 조회수516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7-01-26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지능정보사회#인공지능#예비타당성조사#정보사회#인공지능프로젝트
  • 첨부파일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16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지능정보사회 선도 AI 프로젝트

 

[ 목 차 ]


요 약


제 1 장 사업 개요 및 조사방법
제 1 절 사업 개요
제 2 절 조사범위
제 3 절 조사방법

 

제 2 장 기초자료 분석
제 1 절 인공지능 기술 개요
제 2 절 인공지능 정책 동향
제 3 절 인공지능 기술개발 동향
제 4 절 인공지능 기술 적용 사례
제 5 절 인공지능과 제4차 산업혁명


제 3 장 기술적 타당성 분석
제 1 절 기술개발계획의 적절성
제 2 절 기술개발 성공가능성
제 3 절 기존 사업과의 중복성


제 4 장 정책적 타당성 분석
제 1 절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체제
제 2 절 사업 추진상의 위험요인


제 5 장 경제적 타당성 분석
제 1 절 비용 추정
제 2 절 편익 추정
제 3 절 경제성 분석

 

제 6 장 종합분석 및 결론
제 1 절 사업계획 원안에 대한 조사결과
제 2 절 주관부처 사업계획 대안에 대한 조사 및 예비타당성조사 대안 도출
제 3 절 AHP를 이용한 종합분석
제 4 절 결론 및 정책제언

 

참 고 문 헌

 

부 록


 


제 1 장 사업 개요 및 조사방법
1. 사업 개요
가. 사업의 추진배경 및 내용


□ 추진배경 및 목적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능정보사회 조기 실현 및 국가 현안 해결을 위한 글로벌
수준의 인공지능 기술경쟁력 확보
- 각 산업의 지능화가 이루어지는 제4차 산업혁명에서는 AI기술이 성장원천이나, 국
내 기업들은 기술 경쟁력이 충분치 않고 산업적 활용을 위한 여건이 미비함
- 지능정보기술과 타 산업 간 접목을 통해 산업의 성장한계 극복 및 새로운 부가가
치 창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도입수준은 낮은 실정임
- AI 발전에 따른 미래 사회의 변화 및 파급력이 광범위하고 강력할 것으로 예측되
고 있어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함


□ 사업내용
○ 사업목표 : AI핵심기술 확보 및 이를 활용한 국내 AI산업 생태계 육성
- 혁신적인 AI제품 및 서비스로 세계시장 선점
- 기술격차 극복 및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 확보
- AI확산 및 산업 붐업 환경 조성
○ 사업비 : 7,680억 원(정부 5,756억 원, 민자 1,924억 원)
○ 사업기간 : 2017 ~ 2026년 (3단계 총 10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