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사이언스紙가 주목한 '데이터 기반 미래예측'
- 등록일2017-04-17
- 조회수444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7-03-20
-
출처
한국정보화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미래예측
- 첨부파일
출처 : 한국정보화진흥원
사이언스紙가 주목한 '데이터 기반 미래예측'
김동현 수석 / 정책본부 미래전략센터 김동현 수석
I?. 사이언스紙의 데이터 기반 미래예측과 시사점?
"과거에는 점괘를 보거나, 하늘의 별을 보면서 미래를 예측했다면, 이 시대 예측은 확실히 발전하고 있는 '과학'이 하고있다!" (사이언스지)
1. 사이언스紙가 바라본 '데이터 기반 미래예측'
□빅데이터와 머신러닝을 화룡ㅇ해 사회 각 분야의 미래를 예측하고 현안 해결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가운데,
○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는 사회현상에 대한 '예측과 그 한계(PREDICTION AND ITS LIMITS)'라는 주제로 특별 섹션을 마련(2017.2)
-사이언스紙는 최근 미국 대선결과*를 계기로 데이터 기반 미래예측의 한계와 가능성에 주목
*여론조사 방식과 대량 데이터를 분석한 예측이 모두 실패
- 주요분야(선거·분쟁·과학·예측방법·공공정책·사회과학)의 현안과 이슈 해결을 위한 데이터 기반 예측 사례를 제시하고, 시사점 도출
○아울러 6개의 에세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 기반 예측 성과와 시사점을 열거하고, 향후 발전방향과 가능성을 제시
□사이언스紙는 예측방법이 개선되고, 유의미한 데이터가 풍부해짐에 따라 지금보다 훨씬 정확한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확신
○그러나 빅데이터 예측 알고리즘만으로는 당장 의사결정자들이 원하는 문제 해결을 완벽하게 지원하지는 못할 것으로 분석
- 특히 소셜데이터와 머신러닝을 활용할 경우 사람의 심리, 행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하면 잘못된 예측을 생성
- 더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빅데이터 분석을 방해하는 노이즈 제거와 의미 있는 패턴을 찾아내는 새로운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
○ 아울러 문제의 맥락을 이해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협력을 통해 만든 더 나은 알고리즘이 더욱 정확한 미래를 예측할 것이라고 사이언스紙는 분석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