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16년 'KISTEP 이슈페이퍼' 발간을 통한 정책역량 강화방안 연구

  • 등록일2017-05-08
  • 조회수394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7-04-20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KISTEP 이슈페이퍼#정책역량강화방안#정책역량#이슈분석#과학기술정책
  • 첨부파일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16년 'KISTEP 이슈페이퍼' 발간을 통한 정책역량 강화방안 연구

 

 

1. 연구목표
ㅇ KISTEP의 임무와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연구 자산과 시의성 있는 각종 이슈분석 자료 및 과학기술 정책, 연구 및 산업 현장의 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현황에 대한 심층분석을 국민과 전문가들에게 공유

2. 연구내용
○ (내용) 4차 산업혁명과 과학기술정책 정책 등의 분야에서 시의성 있는 주제를 발굴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스마트제조, 인공지능 및 딥러닝, ICT 융합 재난안전, 메이커스페이스, 나노융합산업, 부품,소재산업, 바이오헬스산업 활성화 등 관련 이슈 발굴을 통해 정책방향 제시
- 국제협력, 재난안전, 우주탐사, 에너지 분야에 대한 R&D투자 방향을 제안하였으며,
- 사전평가, 대학 연구자 행정부담, 고령화 대응, 바이오 안보 등 사회적으로 관심이 높은 분야에 대해 시의성 있는 이슈 제시
○ (발간) 2016년도에 총 20호의 KISTEP 이슈페이퍼를 발간 및 배포
-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청와대, 국회, 부처, 출연(연), 대학 및 정책 관심 고객에게 off-line 및 on-line으로 자료 제공


3. 연구성과 및 정책적 시사점
○ KISTEP의 전문성 제고 및 기관 브랜드 이미지 강화
- ‘2016년도 이슈페이퍼 고객 만족도 조사’결과 2016년 이슈페이퍼가 업무에 도움을 주는 정도에 대한 만족도는 4.34점(5점 기준)으로 나타남. 특히, 매우 만족하거나 만족한다는 응답이 전체응답의 89%를 차지하였음
○ 4차 산업혁명과 과학기술 및 R&D 정책 관련 주요 이슈에 대해 전문가들이 활발히 논쟁을 전개하는 토론의 장 마련
○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 변화가 예상. 시의성 있는 이슈제기를 통해 과학기술계의 사회적 역할에 부응하고, 활용가능한 정책적 제안을 통해 정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