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제94호 과학기술&ICT 동향] 인공지능 기술 적용 촉진 방안 제언
- 등록일2017-05-17
- 조회수4180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7-05-15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ICT 동향#ICT #인공지능#자율주행
- 첨부파일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제94호 과학기술&ICT 동향] 인공지능 기술 적용 촉진 방안 제언
[ 목차 ]
PART01 이슈 분석 :
일본, 중국의 해외 고급 인재 유치 제도
PART02 주요 동향
1. 과학 기술
? 미국, 인공지능 기술 적용 촉진 방안 제언
? 미국, 제조업 성장 촉진 방안 제언
? 일본, 중소기업·소규모 기업 백서 발표
? 일본, 연구개발 전체 보고서 발표
? 일본·중국, 2017년도 과학기술 예산 발표
? 중국, 13·5 국가 과학기술인재 발전계획 발표
? 중국, 대기 미세먼지 오염현황과 대응방안 소개
? EU, 유럽연구이사회(ERC) 시니어 연구자 그랜트
2. ICT
? 미국, 자율주행차 시장에 애플 가세
? 미국, 2개 주에서 자율배달 로봇 허용
? 일본, 원격제어 자율주행차의 일반도로 테스트 허용
? 일본, 자금결제법 개정안 발효…비트코인 확산 기대
? 인도, 글로벌 ICT기업 격전지로 전자상거래 시장 부상
? 화웨이·삼성 간 특허 분쟁과 안드로이드 특허연합
PART03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PART04 주요 통계
Ⅰ 일본, 중국의 해외 고급 인재 유치 제도
①개요
■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노동인구 감소로 해외 인력의 필요성 및 새로운 혁신창출에 대한 인식 제고
○주요국은 해외 고급 인재를 성장 동력으로 간주하고 인재유치를 위한 경쟁이 가속화되는 추세
○우리나라는 해외 우수인재 확보를 위해 노력 중이나, 다른 국가에 비해 현저히 미흡한 수준임
-국내 체류 외국인('11년 141만 명->'16년 205만 명)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나 대다수가 비 전문인력으로 전문인력은 소수(4.8만 명, '16년)
-해외 전문인력 규모는 '12년 이후 정체 상태로, 전문인력 절반 이상은 3년 미만으로 체류하고, 10년 이상 체류하는 경우는 6% 수준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인문.사회계(65.3%), 학부(37.4%).연수(39.5%) 과정 위주이며, 중국 출신 유학생이 과반수를 차지
우리나라는 올해 초 범부처 차원의 해외 우수인재 유치방안(안)('17.4.)을 발표하고, 향후 구체적 실행계획을 추진할 예정임
■ 현 시점에, 일본, 중국의 해외 고급인재 유치 제도를 살펴보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큼
○일본은'고도인재포인트'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면서 외국 인재 확보 전략을 강조
○중극은 유학생 취업제도 개편 및 외국인 등급관리 제도 시행으로 전문인력에대한 차별적 혜택 적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17년 제06호 2015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
다음글
- 인구고령화를 극복하는 지역들, 성장 원천은 무엇인가? - 초고성장·초고령지역의 유형별 성장특성과 시사점 -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