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2017년 제06호 2015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 등록일2017-05-17
  • 조회수494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7-05-10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약개발#정부 R&D#R&D 투자 #투자 포트폴리오 #투자효율화
  • 첨부파일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15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저자
   장기정

 산업통상자원 R&D 전략기획단(OSP) 전문위원 |
문세영

 삼성유전체연구소(SGI) 책임연구원 |
김한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생명기초사업실 부연구위원 |

 

 

 

[ 목 차 ]


1. 개요
2. 총괄 현황
3.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4. 포트폴리오 심층분석
5. 요약 및 정리

 

 

1. 개요
○ 2012년3월국가과학기술위원회생명복지전문위원회는‘신약개발R&D 투자효율화방안’을통해정부R&D투자전략성과효율성제고를위한투자포트폴리오상세분석및관리필요성제기
- 신약개발의효율적인투자를위해서는개발단계, 개발의약품의종류, 대상질환별로투자된 현황을파악하고계획을세울필요가있으므로신약개발의단계, 의약품종류, 대상질환을 기준으로 정부 R&D 투자포트폴리오를 분석

 

○이번 호에서 투자효율화 방안과 동일한 기준으로 2015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현황 및 포트폴리오를 분석함
- 신약개발단계:타겟발굴및검증,후보물질도출및최적화,비임상,임상1~3상,인프라및기타
-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통계(NTIS)를 기준으로 투자 추이(2009년∼2015년), 투자 포트폴리오(2015년)를 분석1)
- 의약품종류: 합성신약, 바이오신약, 천연물신약, 개량신약(합성), 바이오베터, 바이오시밀러
- 질환: 혈관질환, 천식, 종양, 감염증, 정신질환, 퇴행성뇌질환, 골다공증, 당뇨, 비만, 관절염

 

○신약개발의 범주에 해당하는 총 5,815개 과제를 선별하여 분류
- 정부R&D사업(세부 내역사업) 중신약개발을목표로하는R&D사업내과제중과제명, 연구내용, 연구목표 등을 토대로 신약개발 정부 R&D 과제를 선별
- 선별된 R&D 과제들을 제시된 기준(신약개발 단계, 의약품 종류, 대상 질환)에 따라 분류
- 일반연구자지원사업등에서개별연구자수행하는기초및기전연구는신약개발로직접연결되기 어렵기 때문에 분석 대상에서 제외함


※ 각 부처의 투자계획과 상이할 수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