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인공지능 플랫폼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 등록일2017-05-18
- 조회수444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7-05-12
-
출처
ITFIND
- 원문링크
-
키워드
#인공지능#플랫폼#AI 플랫폼# loT#글로벌 패러다임
- 첨부파일
출처 : ITFIND
인공지능 플랫폼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이정원 /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수석
[목 차]
Ⅰ. 서론
Ⅱ. AI 플랫폼 산업 동향
Ⅲ. AI 플랫폼 국내 정책 동향
Ⅳ. 정책적 시사점
Ⅰ. 서론
2016년 다보스 포럼에서 '제 3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후 인공지능은 글로벌 패러다임으로 급부상하였다. 불과 1년이 지난 지금 인공지능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과 기대는 폭발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인공지능이 적용된 제품 · 서비스는 우리 실생활에 이미 본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2017년 초 개최된 CES 2017, MWC 2017 등 대규모 ICT 국제행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의 다양한 신제품 · 신서비스들이 전시되었으며, 특히 인공지능 플랫폼(AI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제품들이 주목을 받았다. 대표적으로 CES 2017에서 선보였던 아마존의 AI플랫폼인 알렉사는 화웨이의 스마트폰에 음성비서로 탑재되었을 뿐 아니라 레노버 인공지능 스피커 ,LG 전자 냉장고, GE LED, 삼성 로봇청소기 등 가전기기와 겨랗ㅂ하여 스마트 홈 생태계 구축을 주도하고 있다. 또한, 아마존은 알렉사를 loT 허브를 활용하여 포드, 폭스바겐 자동차와 같은 타 산업 제품과의 결합을 통한 영역 확장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미 7,000 여개 (2017.1. 기준)가 넘는 제품 · 서비스가 연결된 알렉사 생태계를 구축 중에 있다[1]. 이제 AI 플랫폼은 초기 개발 단계를 넘어 우리 실생활 속으로 진입하여 확산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