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영국 연구진, DNA의 보호 구조 특성 파악
- 등록일2017-07-10
- 조회수4141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7-06-15
-
출처
GT코리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DNA의 보호구조
출처 : GT코리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영국 연구진, DNA의 보호 구조 특성 파악
□ 영국 의료 연구 의회(Medical Research Council, MRC)의 지원을 받는 연구자들이 인간 게놈에 대한 과학자들의 생각을 바꿀 수 있는 DNA의 보호 구조 특성을 파악하였음
ㅇ DNA의 지원적 비계설정(supportive scaffolding)에 연관된 분자는 고정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실제로는 돌연변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동적이고 즉각 반응하는 변화를 보이는 것이 보였음
- 과학자들은 이 발견이 DNA 손상과 게놈 조직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고 하였으며 DNA 관련 질병에 대한 현재 생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하였음
ㅇ 인간의 세포에서 DNA는 크로마틴을 형성하기 위한 단백질로 둘러싸여 있으며 크로마틴이 DNA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어떤 유전 정보가 읽힐 수 있는지를 제어함
ㅇ 셀(Cell)지에 실린 본 연구는 화학적인 비계설정 요소 A(SAF)가 보호 크로마틴 망을 형성하기 위해 특정 분자에 묶이는 것을 보였음
ㅇ 처음으로, 이 망이 구조를 유연하고 반응적으로 하기 위해 동적이고 조립과 분해를 하는 것이 보였음
- 또한, SAF-A의 손실이 비정상적인 비계설정을 유발하며 이는 게놈에 손상을 촉발할 수 있는 것이 보였음
ㅇ 과학자들은 본 발견이 유전적 불안정성이라고 불리는 크로마틴이 DNA를 높은 수의 돌연변이로부터 보호하는지 보였다고 말하고 있음
ㅇ SFA-A는 이전의 쥐 연구들에서 태아 발전에 필수적이라고 알려졌으며 SAF-A의 돌연변이는 암 유전자 스크리닝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어왔음
ㅇ 연구 결과는 우리의 DNA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에 큰 영향을 가지고 있으며, DNA 돌연변이 보호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함
ㅇ 본 연구에서는 Edinburgh 초해상 영상 컨소시움에 의해 개발된 최첨단 기술이 사용되었음
- 이는 MRC, 생명공학 및 생명과학 연구 의회, 공학 및 물리 과학 연구 의회에 의해 지원되었음
- 또한, 연구는 Heriot Watt 대학과 함께 협력으로 이루어졌음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