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국내외 보건의료 리빙랩 사례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 등록일2017-09-04
  • 조회수4759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7-08-17
  • 출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리빙랩사례
  • 첨부파일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내외 보건의료 리빙랩 사례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보건·의료·웰빙 관련 기술·제품·산업 육성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사회적 수요 발굴, 지역 커뮤니티 형성 등 지속가능한 사회·기술 시스템 구축 방법론으로 리빙랩을 활용하고 있다.

 

주요국의 보건의료 리빙랩 현황 및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벨기에「LiCaLab」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자들의 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헬스케어 리빙랩이며 가장 성공적인 사례로 Topshake를 들 수 있다. 이는 음식을 삼키는 것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아침식사 대용 식품 개발을 목표로 한다.

 

벨기에「WeLL(Wallonia e-health Living Lab)」

벨기에 왈로니아(Wallonia) 지역 최초의 헬스케어 리빙랩으로 참여주체들(엄마/아빠)의 적극적인 지지 및 참여를 이끌어내 대내외적으로 주목을 받은 사례로 HappyMum를 들 수 있다. 이는 임신·출산 과정에서 산모들이 실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해 불안과 두려움을 이겨낼 수 있도록 돕고자 기획하였다.

 

대만「Suan-Lien」

노인돌봄센터를 중심으로, 고령층 대상의 제품·서비스를 개발한 것으로 실내에서만 활동하고 일과 시간 중 충분한 햇볕을 쬐지 못하는 경우, 수면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한 ‘수면유도제품’과 회상요법, 기억력 훈련법 등을 게임으로 구현하여 노인들과의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사용자 친화성 UI를 구축한 ‘기억력 회복게임(Taogei)’ 을 대표적인 사례로 들 수 있다.

 

한국「시니어리빙랩」

성남 고령친화종합체험관을 시니어 제품 개발을 위한 리빙랩으로 발전시킨 것으로 ‘자동 기립형 비데’는 사용성 평가의 대표 사례로 들 수 있다. 이는 사용성 평가 후 비데 안쪽이 서서히 위로 올라오는 방식으로 디자인 변경되었다.

 

보건의료 리빙랩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정부-민간-일반시민의 적극적인 협력 모델(PPPP, Public-Private-People Partnerships)로서 진행

▶ 보건·의료·웰빙 제품 및 서비스를 실제 활용·사용하는 주체의 적극적인 참여 강조

▶ 돌봄센터, 체험관 등을 기반으로 노인돌봄, 헬스케어 등의 특화된 플랫폼으로 발전시킴

▶ 구체적인 니즈 발굴과 관련 주체 간의 지식·경험 공유가 중요한 과제

▶ 현장지향성 문제해결을 위한 다학제·초학제 연구팀 구성

▶ 최종 사용자 이해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소통 방식 개발과 상호 신뢰 구축이 중요한 과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