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보건복지 분야 데이터 주도 정책 추진 필요성과 방향
- 등록일2017-09-20
- 조회수4546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17-08-30
-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4차산업혁명#보건복지분야#데이터 주도 정책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보건복지 분야 데이터 주도 정책 추진 필요성과 방향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이 인간 삶의 다양한 분야에 보편적으로 활용됨으로써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고 발전하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연계하여 미래를 예측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핵심이며, 보건복지 분야에서도 이와 같은 데이터 주도 정책의 수립과 추진 기반을 구축,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보건복지 분야 데이터 주도 정책의 추진 필요성과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1. 들어가며: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우리 사회의 이슈와 관심은 2016년 다보스 세계경제포럼 관련 언론 보도 이후 시작되었다. 2016년 3월 알파고로 인해 인공지능(AI)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이해와 관심이 높아진 이후 2017년 초 다보스 포럼과 정부의 지능정보사회 종합대책 발표, 5월 대통령 선거를 거치면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는 빅데이터(Big data)와 인공지능을 핵심으로 하는 지능정보기술이 우리 삶의 다양한 분야에 보편적으로 활용됨으로써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고 발전하는 사회를 의미한다. 4차 산업혁명(4I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이란, 정보통신기술(ICT)융합으로 인한 혁명의 시대를 의미하며, 2016년 1월 다보스에서 개최된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에서 제시된 이후 전 세계적 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 1784년 영국에서 시작된 증기기관과 기계화에 의한 1차 산업혁명, 1870년 전기 이용과 노동력 분화를 통한 대량생산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2차 산업혁명에 이어 3차 산업혁명은 1969년 정보기술(IT)과 인터넷이 이끈 정보화 및 자동생산시스템이 주도한 것이라면 최근 모든 영역에서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급격하게 진행되는 우리 미래의 혁신적인 변화를 의미한다.1)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인터넷(IoT), 무인운송 수단(자율주행차량, 무인항공기), 3차원 인쇄(3D 프린팅), 나노기술 등 6대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기술 혁신이다. 4차 산업혁명은 물리적, 생물학적, 디지털 세계를 빅데이터에 입각해 통합하고 사회, 경제, 산업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신기술로 설명될 수 있다.
한편, 정부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우리 사회를 개념적으로 정의한 지능정보사회(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에서도 고도화된 정보통신기술 인프라(ICBM)를 통해 생성·수집·축적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과 같은 새로운 기술이 결합해 데이터와 지식이 기존의 생산 요소(노동과 자본)보다 더욱 중요해지고, 다양한 제품·서비스 융합에 따라 이종(異種) 산업 간 경계가 붕괴되며, 지능화된 기계를 이용한 자동화가 지적 노동 영역으로까지 확장되는 등 경제·사회 전반에 데이터가 주도하는 혁신적인 변화가 발생한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연계하여 미래를 예측함으로써 새로운 지식과 가치를 창출하며, 기존과 다른 새로운 시장과 상품을 만들고, 더 나은 정책을 수립, 집행하는 과정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러한 경향이 바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언급한 데이터 주도 혁신(DDI: Data-Driven Innovation)인 동시에 데이터 주도 정책(datadriven policy)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2) 보건복지 분야에서도 데이터 주도의 새로운 정책 수립 및 추진 기반을 구축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욱더 중요해질 것이다. 여기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보건복지 분야에서의 데이터 주도 정책 추진 필요성과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